2025 사무실 인터넷 설치가이드 (기업용 VS 가정용 차이)
- 정보흠
- 22시간 전
- 5분 분량

목차
각 통신사에는 사무실 인터넷 상품이 존재해요.
KT 오피스넷 | SK biz인터넷 | LG 오피스넷 | |
100메가 인터넷 | 월 30,800원 | 월 30,800원 | 월 30,800원 |
500메가 인터넷 | 월 44,000원 | 월 44,000원 | 월 44,000원 |
1기가 인터넷 | 월 49,500원 | 월 49,500원 | 월 49,500원 |
(위의 요금은 3년 약정을 기준으로 합니다.)
다만
반드시, 사무실 인터넷을 가입해야 되는 것은 아니구요? 실제로, 사무실 인터넷은 소비자한테 상당히 불합리한 상품이기 때문에, 일반 인터넷 상품으로 가입하시는 사장님들도 많지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1)왜, 사무실 인터넷이 불합리한 상품인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2) 어떤 경우에 가입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해요.
이 밖에도,
(3) 사무실 인터넷 설치에 정말 중요한 공유기 구성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다룰테니, 딱! 1분만 집중해 주세요?
사무실 인터넷 VS 일반 인터넷
사무실 인터넷이 소비자한테 상당히 불합리한 상품인 이유는, 두 상품이 완전히 동일한 상품임에도 불구하고 사무실 인터넷만 가격이 더 비싸다는 점 때문이에요.
일반 인터넷 | 사무실 인터넷 | |
100메가 인터넷 | 월 22,000원 | 월 30,800원 |
500메가 인터넷 | 월 33,000원 | 월 44,000원 |
1기가 인터넷 | 월 38,500원 | 월 49,500원 |
현금사은품 혜택 | 있음 | 없음 |
동시 사용가능 PC 대수 | 2대 까지 | 제한 없음 |
위의 표를 보면, 사무실 인터넷이 일반 인터넷 보다 11,000원 더 비싼 것을 알 수 있죠?
게다가, 사무실 인터넷은 현금 사은품이 지급되지 않기 때문에, 두 상품의 실질적인 가격 차이는 더 벌어질 수 밖에 없죠.
다만,
사무실 인터넷이 11,000원 더 비싼데도, 가입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동시 사용가능 PC 대수’의 차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어요.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통신사들은 1회선의 인터넷으로 3대의 PC를 동시에 연결 하려고 할 경우, 위와 같은 창을 띄워서 인터넷을 차단시키고 있단 말이죠?
일반 인터넷의 경우, 이를 해결하려면…

월 5,500원의 ‘추가단말 서비스’를 가입해야 하거든요?
그런데,
통신사들은 사무실 인터넷을 팔면서, 이렇게 말해요.
“사무실 너희들은 어차피 1회선의 인터넷으로 여러명이 돌려서 쓰지? 이거 원래 ‘추가단말 서비스’ 가입해야 되는거거든? 근데, 사무실 인터넷 상품으로 가입하면 몇명이서 쓰든 용서 해줄께”
그러므로
사무실 인터넷 VS 일반 인터넷 논쟁은, 사실 상 '우리 사무실의 직원이 몇명인지'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죠.
사무실 직원 2인 이하 : 일반 인터넷이 11,000원 더 저렴
사무실 직원 3인 : 추가 단말서비스를 1개(5,500원) 가입해야 하므로, 사무실 인터넷보다 5,500원 더 저렴
사무실 직원 4인 : 추가 단말 서비스 2개(11,000원)를 가입해야 하므로, 일반 인터넷과 사무실 인터넷의 가격이 동일. (단, 이후 사업 확장성을 생각하면, 사무실 인터넷을 좀 더 추천)
사무실 직원 5인 : 사무실 인터넷을 추천
네? 직원이 적어서
일반 인터넷이 더 낫겠다구요?
그러시다면, 그냥 가정집과 동일하게 인터넷에 가입하시면 되요. 그냥 인터넷 속도나 가격 같은 부분을 체크하시고 인터넷 가입을 진행해주시면 되죠.
관련글
일반 인터넷을 가입하시려는 분들은, 위의 관련글이 도움이 되실테니, 좀 더 자세하게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읽어봐주세요?
참고로
일반 인터넷에서 중요한 것은 최대한 현금사은품을 많이 받아가면서 가입하는 것이거든요?
관련글
현금사은품을 많이 지급하는 대리점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금액을 지급해요.
KT | SKB | LGU+ | |
100메가 | 9만원 | 11만원 | 30만원 |
500메가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1기가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작은 팁을 하나 드리자면
가급적 ✔️유튜브에 광고를 하거나 ✔️유명모델을 고용한 대리점에서는 가입하지 마시라는 거에요. 이러한 업체들은 대리점 홍보에 엄청난 비용을 사용하거든요?
문제는 이러한 대리점 홍보비용이 고객한테 전달되야 할 현금사은품 액수를 줄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에요.
(궁금하시면 위의 표와 유명 업체의 현금사은품 액수를 비교해보세요-!)
중요한 것은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하는 업체
통신사의 현금사은품 정책을 매주 갱신하는 업체
를 선택하는 것이죠.
이러한 부분에서 추천드릴 수 있는 업체는 현금플러스가 있어요.
현금 플러스는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할 뿐만 아니라, 현금사은품 정책을 빠르게 반영하는 것으로 우위를 보이는 업체거든요?
게다가, 현금플러스는 현금사은품 당일지급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도 장점이죠. 현금사은품 당일지급 한다는 것은 ‘해당 업체가 신뢰성 높다’는 업계의 평가 지표로 쓰이는 만큼, 이러한 부분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네? 직원수가 4명 이상이라서
사무실 인터넷이 낫겠다구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통신사 선정 👉 인터넷 속도선정 👉 공유기 선정 스텝을 차근차근 밟아봅시다. 😎
통신사 선정
사무실 인터넷도 결합할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월 요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면 지금 내가 이용하고 있는 휴대폰과 동일한 통신사의 인터넷을 가입하시는걸 추천드려요.
다만
사무실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은 직원 규모가 4인 이상이라는건데, 이는 사업 규모가 결코 작지 않다는 뜻이잖아요?
때문에, 결합할인은 포기하고 인터넷 안정성을 우선시해서 통신사를 결정하는 것도 결코 나쁜 선택은 아니에요.
(안정성이 높다 = 끊기거나 고장이 적다)
인터넷 안정성이
가장 우수한 것은 KT에요.
왜냐하면, 대한민국에서 KT 인터넷의 사용자가 가장 많기 때문이죠.
인터넷 가입자수 | |
KT | 9,775,876 회선 |
SK | 6,736,835 회선 |
LG U+ | 4,964,588 회선 |
인터넷 가입자수가 많다는 것은 ‘전국에 국사 건물을 가장 많이 세워두었다’는 것을 의미하거든요?

국사 건물이 많을 때 인터넷 안정성 측면에서 2가지 이점이 생기게 되요.
첫째, 특정 국사가 마비 되더라도, 다른 국사에 우회 연결할 수 있음.
둘째, 우리집과 국사 건물 간의 케이블 거리(종단망)가 짧아서, 혼잡이 줄어듬.
속도가 중요한 일반 인터넷의 경우, 국사 건물의 갯수가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안정성이 중요한 사무실 인터넷의 경우, KT 인터넷이 훨씬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인터넷 속도 선정
통신사들은 일반 인터넷과 사무실 인터넷을 각각 ✔️100메가, ✔️500메가, ✔️1기가 속도로 나누어서 판매하고 있잖아요?
일반 인터넷 | 사무실 인터넷 | |
100메가 인터넷 | 월 22,000원 | 월 30,800원 |
500메가 인터넷 | 월 33,000원 | 월 44,000원 |
1기가 인터넷 | 월 38,500원 | 월 49,500원 |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사무실 인터넷의 경우
가급적 ✔️500메가 인터넷이 Best!
금전적 여유가 없다면 ✔️100메가 인터넷도 OK
✔️500메가 인터넷을 추천하는 이유는, 사무실은 인터넷을 브라우저(웹서핑)를 중심으로 인터넷을 사용하기 때문이에요.
스트리밍 서비스(유튜브, 넷플릭스)의 경우, ✔️100메가 인터넷과 ✔️500메가 인터넷에는 속도 차이가 전혀 없는 반면?
웹서핑의 경우, 페이지를 로딩할 때, ✔️100메가 인터넷과 ✔️500메가 인터넷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해요. (평균 0.1~0.2초 수준)
이는
최저보장 속도
웹페이지 크기
TCP Slow Start
데이터 병렬전송
등의 이유 때문에 발생하죠.
관련글
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고싶은 분들의 경우 위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결론적으로
✔️100메가 인터넷도 충분히 빠르지만?
사무실 인터넷은 (1) 4명 이상이 동시에, (2) 웹 페이지 기반으로 사용하는 만큼, 웹페이지 속도를 좀 더 높이고 싶다면 ✔️500메가 인터넷도 충분히 괜찮은 선택지라는 거에요.
그런데,
사무실 인터넷에 있어서 ‘100메가 인터넷 VS 500메가 인터넷’ 보다 중요한 것이 공유기거든요?
공유기 선정
저희가 자신있게 말씀드릴께요? 🫡
✔️500메가 인터넷을 가입하는 것 보다, ✔️100메가 인터넷 + 비싼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이 인터넷 속도에 압도적으로 유리해요.
왜냐?
사무실 인터넷은 4인 이상이 동시에 인터넷을 활용하는 환경이잖아요?
이 말은 즉, '1회선의 인터넷을 4대의 컴퓨터에 분배 해야한다'는 뜻인데, 이 때 공유기의 성능이 쾌적한 분배에 엄청나게 중요하기 때문이에요.
(통신사들은 공유기를 공짜로 지급하기 때문에, 공유기의 중요성을 거의 언급하지 않습니다.)
문제는
통신사가 지급하는 공유기는 4인 이상이 동시에 쓰는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이에요.
왜냐?
사무실 인터넷 이용자한테 지급되는 공유기가 가정용 공유기와 동일한 모델이기 때문이에요.
통신사들은 공유기를 지급 할 때 ‘와이파이6가 탑재되었음’을 강조하지만, 사실 공유기에서 중요한 것은 ✔️CPU, ✔️램, ✔️펌웨어 최적화와 같은 부분이거든요?
일반적인 CPU 코어 | 일반적인 RAM | |
보급형 | 싱글코어(1개) | 128MB |
일반형 | 듀얼코어(2개) | 256MB |
고급형 | 쿼드코어(4개) | 512MB |
최상급 | 옥타코어(6~8새) | 1GB |
통신사들은 대부분 일반형 수준의 공유기를 지급해서, 4인 이상의 환경에서는 부족할 뿐만 아니라? 사설 공유기에 비해, ✔️펌웨어 최적화의 수준도 떨어지기 때문에, 명백하게 낮은 평가를 받고 있죠.
때문에
사무실 인터넷을 설치하시려는 분들은 공유기 값을 아까워 하셔서는 안되요.
직원이 4명 이상인 경우 : 티피링크의 AX 53
✔️퀄컴의 IPQ0518의 듀얼코어 CPU와 ✔️256MB 램을 사용한 공유기에요.
저희가 추천드릴 수 있는 사무실 공유기 중에서 가장 저렴한 모델이에요. 만약, 인터넷 품질을 중시하신다면 이것 보다 비싼 제품을 구매하셔도 좋습니다. 😎
관련글
만약, ‘어떤 기준으로 와이파이 공유기를 구매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고싶으시다면. 위의 관련글을 한번 읽어보셔도 도움이 되실테니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사무실 인터넷을 설치할 때 어떤 점을 주의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확실하게 이해하실 수 있게 되셨길 바랄께요!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