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KT,SK,LG 인터넷 속도 비교가이드 (+ 디시 의견정리)
- 정보흠
- 8월 11일
- 5분 분량

목차
통신 3사의 인터넷 속도에 대한 유저 댓글을 살펴보면, ‘KT가 제일 빠르고 좋다.’는 의견도 있고, ‘요즘은 별로 차이가 없다’는 의견도 존재하거든요?

이렇게 의견이 다를 수 밖에 없는 이유는 통신사들의 통신 장비가 매년 끊임없이 개선되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SK와 LG U+의 인터넷 품질이 KT 보다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3년 전에 비해서 상당히 개선된 것도 분명한 사실이란 말이죠?
그러므로,
인터넷 속도에 관해서는 반드시 최신 현황이 반영된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최신 현황이 반영된 통신 3사의 인터넷 속도를 (1) 케이블, (2) 해외망, (3) 캐시서버, (4) QoS를 기준으로 알려드릴까 하거든요?
걱정마세요.
저희 보흠픽셀은 주기적으로 문서를 갱신합니다. 🥰 또한, 디시 인사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의견을 정리하여 소개해드리므로, 신뢰성 측면도 걱정하지 마시기 바랄께요?
케이블 비교
여러분들도 아시다시피, 인터넷이란 케이블(전깃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잖아요?
예를 들면,

우리가 네이버에서 김치 사진을 검색 했다면,
김치 사진 데이터가 (1) 네이버 본사에서 출발 해서, (2) 케이블(전깃줄)을 타고, (3) 내 컴퓨터까지 전송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 인터넷의 원리라는 것이죠.
그런데, 문제는
데이터가 케이블(전깃줄)을 타고 전송 될 때, ‘어떤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인터넷 속도가 달라진다는 사실이에요.
기술 명칭 | 사용 케이블 | 주 사용년도 |
다이얼 업 | 전화선 (구리선) | 1990년대 |
ADSL | 전화선 (구리선) | 2000년대 |
HFC | TV 방송용 케이블 | 2000년대 ~ 오늘날 |
FTTH | 인터넷 전용 케이블 | 2010년대 ~ 오늘날 |
최근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TV 방송용 케이블과 ✔️인터넷 전용 케이블이거든요?
문제는,
✔️TV 방송용 케이블이죠.
✔️TV 방송용 케이블은, 애초에 인터넷을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몰리는 밤에는 인터넷 속도가 느려지고
비오는 날에는 노이즈로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고,
다운로드 속도에 비해서 업로드 속도가 저하 되는
인터넷이란 말이죠?

✔️TV 방송용 케이블은 ✔️인터넷 전용 케이블에 비해서 장점이 전혀 없는데다가?
일본과 다르게 한국은 ✔️인터넷 전용 케이블이라고 해서, 더 많은 요금을 청구하는 것도 아니에요.

때문에, 한국에서는 반드시 ✔️인터넷 전용 케이블을 설치해주는 통신사를 선택해주셔야 하죠.
네? 근데 어떤 통신사가
인터넷 전용 케이블을
설치해주냐구요?
통신 3사는 모두 ✔️인터넷 전용 케이블로 인터넷을 설치해 주고 있어요.
다만
아직, 모든 동네에 인터넷 전용 케이블을 설치해주는 것은 아니고, 같은 통신사라도 일부 지역의 경우에는 ✔️TV 방송용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산간 지역의 경우에는 ✔️전화선으로 인터넷을 설치해주는 경우도 있거든요?
사실, 과거에는
KT가 압도적인 비율로 ✔️인터넷 전용 케이블을 설치해주었는데...
최근에는 SK와 LG도 ✔️인터넷 전용 케이블의 보급율을 엄청나게 높이기 시작하면서 그 차이가 상당히 줄어들었죠.
2017년 인터넷 전용케이블 | 2025년 인터넷 전용케이블 | |
KT | 92.4% | 97.85% |
SKB | 77.2% | 82.84% |
LGU+ | 76.1% | 96.69% |
이 부분은 매우 중요해요.
왜냐하면
KT는 예전부터 ‘인터넷 전용 케이블의 보급율이 높다’는 것을 근거로, 통신 3사 중에서 인터넷에 가입할 때 가장 적은 현금사은품을 지급해오고 있단 말이죠?
관련글
KT | SKB | LGU+ | |
100메가 | 9만원 | 11만원 | 30만원 |
500메가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1기가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100메가 + TV 결합 | 37만원 | 43만원 | 47만원 |
500메가 + TV 결합 | 45만원 | 48만원 | 47만원 |
1기가 + TV 결합 | 45만원 | 48만원 | 47만원 |
과거에는
✔️인터넷 전용 케이블을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적은 현금사은품을 받아가면서, KT에 가입할 수 밖에 없었지만?
지금은
통신 3사도 인터넷 전용 케이블의 보급율이 높기 때문에, 다른 통신사도 충분히 선택해볼만한 상황이 되었죠.
참고로
인터넷을 가입할 때는, 가급적 ✔️유튜브에 홍보를 하거나, ✔️유명모델을 고용한 업체에서는 가입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려요.
이런 업체들은 사람들을 끌어모으기 위해서 막대한 홍보비용을 사용하는데, 결국 그것이 현금사은품의 액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죠.
중요한 것은
법이 허용하는 최대치까지 현금사은품을 지원하는지
통신사의 정책을 매주 빠르게 적용하는지
의 여부에요.
이런 측면에서는 현금플러스가 유리할 수 있죠. 현금플러스는 법이 허용하는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하면서도 통신사의 정책을 매주 빠르게 적용 하는 것으로 우위를 보이는 업체거든요?
만약, 조금이라도 더 이득을 보면서 인터넷을 가입하고 싶으시다면, 이러한 현금플러스도 후보에 넣어주시기 바랄께요?
네? 그런데 통신사가 말하는
‘100메가이니, 500메가이니’
하는건 뭐냐구요?
그건, 엄밀하게 말하면 인터넷 속도가 아니라 ‘대역폭’을 의미해요. 만약 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궁금하시다면,
관련글
위의 관련글을 읽어주시기 바랄께요?
해외망 비교
인터넷 속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케이블이에요.
다만,
해외 사이트에 자주 접속하시는 분들
해외 유튜브 영상을 자주 보시는 분들
스팀을 통해서 게임을 하시는 분들
플스, 엑스박스, 스위치 등의 콘솔게임을 하시는 분들
위에 해당하는 분들은 케이블 뿐만 아니라, 통신 3사의 해외망 품질까지 체크를 해주셔야 하죠.
네? 해외망이 뭐냐구요?
인터넷이란 케이블(전깃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라고 했죠?
그런데, 국내와 달리 다른 나라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에는 해저케이블(Submarine Cable)을 사용한단 말이죠?

해저케이블은 ✔️통신사가 직접 소유하거나, ✔️다른 통신사한테 임대를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만약 해당 통신사의 해외망의 품질이 떨어진다면, 해외 서비스에 접속할 때 상당히 느린 속도를 경험하게 되지요.
네? 그럼 어떤 통신사의
해외망이 좋냐구요?
해저 케이블 | 소유주 | 처리 가능용량 |
APCN-2 | KT,LGU+ | 27.4테라 |
KJCN | KT | 2.88테라 |
TPE | KT | 8테라 |
APG | KT,LGU+ | 57테라 |
SCJ2 | SKB | 9테라 |
가장 공격적으로 해저케이블에 투자하는 통신사는 KT에요.
해저케이블은 매우 비싸기 때문에, 각 나라의 여러 통신사가 돈을 모아서 구매하게 되거든요?
이 때, 각 통신사가
낸 돈에 따라서
지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KT는 상당한 돈을 내기 때문에, 훨씬 빠른 속도로 이용자에게 해외망을 제공하는게 가능하죠.

반면, SKB의 경우,
현재 소유하고 있는 해저케이블이 SJC2 뿐인데, 용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전용 케이블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다른 통신사에 비해서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물론
SKB도 이 부분을 인지하고 있고, 2028년에는 E2A라는 미국을 경유하는 대규모 해저케이블 증설을 준비중에 있어요.
다만, 아직까지는 통신 3사 중에서 가장 떨어지는 평가를 받는다는 점 기억해주시기 바랄께요?
캐시서버 비교
한편, 해외망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캐시서버(CDN)이거든요?
캐시서버가 뭐냐?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대형 플랫폼이, 통신사와 제휴를 통해서 직접 국내에 설치한 서버를 의미해요.
이러한 대형 플랫폼이 통신사와 캐시서버를 제휴하지 않으면, 모든 영상 데이터가 해외에서 직접 전송되므로- 엄청나게 느린 인터넷을 체감하게 되는데…
(아무리 해외망이 뛰어나도 물리적인 거리의 한계 때문에, 결국 캐시서버 보다는 느릴 수 밖에 없음)
이 캐시서버를 두고
싸움이 터진 것이
그 유명한 ‘SKB-넷플릭스의 망사용료 논란’이었죠.
관련글
재밌는 내용이니까 관심있는 분들 위의 관련글 한번 읽어보셔도 도움이 되실거에요.
다만, 바쁘신 분들을 위해
결론만 말씀드리면
유튜브 GGC | 넷플릭스 OC | |
KT | O | O |
SKB | O | O |
LGU+ | O | O |
‘SKB-넷플릭스의 망사용료 논란’은 넷플릭스가 SKB에 캐시서버를 설치해주는 것으로 합의가 되면서, 일단락 되었어요.
때문에
현재는 통신 3사 모두 ✔️유튜브와 ✔️넷플릭스의 캐시서버를 보유하여, 안정적으로 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지요.
다만
✔️딜라이브나 ✔️CMB 같은 지역 케이블인터넷의 경우에는 이러한 캐시서버에 정상적인 방법으로 접속하는게 불가능해요. (물론 통신 3사가 캐시서버를 빌려주긴, 하지만 속도에 차별을 둔다.)
때문에
지역 케이블인터넷은 어지간하면 이용하지 않으시길 권장드려요.
관련글
이와 관련해서는 위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QOS 비교
스마트폰은 매달 데이터 제한이 있잖아요? 마찬가지로 인터넷도 1일 단위로 통신사 마다 데이터 제한이 존재하거든요?
이게 QoS(Quality of Service)에요.
데이터 제한을
초과하게 되면,
✔️500메가 인터넷, ✔️1기가 인터넷이라고 할지라도, 속도가 100메가(100Mbps)로 제한되죠.
통신사별로 1일 당
데이터 제한은 다음과 같아요.
500메가 인터넷 | 1기가 인터넷 | |
KT | 150기가바이트 | 150기가바이트 |
LGU | 150기가바이트 | 300기가바이트 |
SKB | 사실상 제한없음 | 사실상 제한없음 |
(참고자료 : https://www.lguplus.com/footer/agreement )
물론, 하루에 150기가바이트를 다운 받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이용자분들은 크게 신경쓰실 필요 없지만?
✔️클라우드 서비스,
✔️토렌트, ✔️스팀,
✔️플레이스테이션
…등을 이용 하시는 분들의 경우에는, SK가 훨씬 유리할 수 있겠죠?

다만,

‘SKB와 LGU+는 토렌트 속도가 느리다’는 이야기가 종종 들려오고 있어요.
이 말이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는 것이, 토렌트는 기본적으로 해외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들어서, 통신사가 매우 싫어하기도 하구요?
통신사는 심층 패킷 검사(DPI)등으로 모든 데이터를 감시할 수 있기 때문에, 토렌트에 속도 제한을 거는 것이 기술적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이죠.
다만, 이런 경우에는
VPN을 사용하시는 것으로 해결 할 수 있죠.
관련글
이에 대해서 좀 더 궁금하신 분들은 위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통신 3사의 인터넷 속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비교하는데 도움이 되셨길 바랄께요-!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