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5 KT 기업용 인터넷(오피스넷,Flexline) 개념정리글  

  • 작성자 사진: 정보흠
    정보흠
  • 1분 전
  • 5분 분량
ree

목차



KT는 기업용 인터넷 상품은 워낙 다양해서 표로 대략적인 개념부터 정리하는걸 추천드려요.



대상

소호 인터넷

매장,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오피스넷

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

Flexline

중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

GiGA office

중견기업 및 IT 기업 



일단, 소호 인터넷은

함정상품이에요.



일부 대리점들은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소호 인터넷이라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이 상품은 ✔️일반 인터넷과 완벽하게 동일한 상품임에도, 현금사은품을 지급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죠.

(때문에, 소상공인은 그냥 일반 인터넷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음)


결국, 진짜 KT 기업용 인터넷은


✔️오피스넷 

✔️Flexline

✔️GiGA office 


라고 할 수 있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1) 다양한 KT 기업용 인터넷 상품을 비교해보고, 여러분한테 (2) 어떤 상품이 가장 적합한지를 확인해볼까 하거든요? 최대한 자세하게 알아볼테니, 조금만 집중해 주세요?



일반 인터넷 VS 오피스넷 


‘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의 사장님들의 경우, ✔️일반 인터넷✔️오피스넷 중에 하나를 선택하시는게 일반적이에요.



문제는



✔️오피스넷일반 인터넷에 비해서 가격이 11,000원 더 비쌀 뿐만 아니라, 현금사은품 조차 지급하지 않는다는 사실이죠.

(품질은 완벽하게 동일함)



네? 그럼 오피스넷

가입할 필요 없지 않냐구요?

 


아뇨, 그렇지는 않아요.



일반 인터넷

오피스넷

100메가 인터넷

월 22,000원

월 30,800원

500메가 인터넷

월 33,000원

월 44,000원

1기가 인터넷

월 38,500원

월 49,500원

현금사은품 혜택

있음

없음

동시 사용가능 PC 갯수 

2대 까지 

제한 없음


두 상품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동시 사용가능 PC 갯수’일반인터넷은 최대 2대인 반면, 오피스넷은 제한이 없다는 점이거든요?


즉, 두 상품은 완전히 동일한데, 단지 KT가 ‘동시 사용가능 PC 갯수’ 제한을 풀어주느냐,마느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라는거죠.



(사무실에서 일반인터넷으로 PC를 3대 이상 쓰면 위와같은 경고창이 등장한다.)
(사무실에서 일반인터넷으로 PC를 3대 이상 쓰면 위와같은 경고창이 등장한다.)


(KT는 '동시 사용가능 PC 갯수’ 제한이 심하다는 클리앙 유저의견)
(KT는 '동시 사용가능 PC 갯수’ 제한이 심하다는 클리앙 유저의견)


때문에, ✔️오피스넷에 대한 비판이 꽤 많은 편이에요. 


“어차피 동일한 품질의 인터넷을 좀 여럿이서 사용하는 것 뿐인데, 왜 요금은 2배 이상 받으려고 하느냐”


“스마트폰은 5대 이상 접속해도 되는데, 왜 PC만 접속을 제한하느냐”


✔️오피스넷단지 사업자라는 이유만으로, 더 비싼 요금제를 강요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불합리하다고 느끼고 계시죠. 



다만



사실, 이러한 ‘동시 사용가능 PC 갯수’ 제한을 우회하는게 그리 어려운건 아닙니다. 😎



KT의 제한을 우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KT가 주는 공유기가 아니라, 사설 공유기를 사용하는 것이에요.



사실, KT가 PC를 제한하는

원리는 꽤 원시적인데…



KT는 MAC 어드레스를 기반으로 PC댓수를 제한하거든요?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기기는 MAC 주소를 갖고 있다.)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기기는 MAC 주소를 갖고 있다.)

우리가 쓰는 모든 PC, 스마트폰에는 각자 고유의 MAC 어드레스가 있는데, 통신사는 이 MAC 어드레스를 보고 스마트폰인지 PC인지를 대략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죠.



그런데, 



직접 구매한 사설 공유기의 경우, KT가 MAC 어드레스를 식별할 수 없어요. 





KT의 눈에는 공유기의 MAC 어드레스로만 보이기 때문에, KT의 눈을 상당히 피할 수 있는 것이죠.



참고로, 



3대 이상의 PC를 이용할 때는 공유기의 성능도 상당히 중요하거든요? 


다중 PC 환경에서 저렴한 공유기를 사용하면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 뿐만 아니라, 메모리 누수로 인터넷 접속 끊기는 일도 빈번해요.


관련글


혹시나, 와이파이 공유기를 고를 때는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봐야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의 경우, 위의 관련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다만



굳이 이런식으로 '우회하기는 복잡하고 신경쓰기 싫다'고 느껴지시는 분들은 그냥 오피스넷을 가입하는게 정답이에요. 


일반 인터넷 보다 가격이 비싸긴 하지만, KT의 차단(또는 트집)을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합리적인 것도 사실이죠.



물론



✔️오피스넷을 가입하면, 일반 인터넷을 가입할 때 보다 매달 11,000원의 추가 지출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11,000원 X 36개월 = 39만6천원 절약 

✔️일반 인터넷 가입으로 ‘39만6천원을 절약할 수 있다’은 분명히 매력적인 만큼, 충분히 고민하신 다음에 결정해주시기 바랄께요?



만약, ✔️일반 인터넷이

더 낫다고 판단되신다면



최대한 현금사은품을 많이 받아가면서 가입하는 것이 이득이거든요?


현금사은품을 많이 지급하는 대리점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금액을 지급하는데,

 


KT

SKB

LGU+

100메가

9만원

11만원

30만원

500메가

14만원

17만원

33만원

1기가

14만원

17만원

33만원



작은 팁을 하나 드리자면



가급적 ✔️유튜브에 광고를 하거나 ✔️유명모델을 고용한 대리점에서는 가입하지 마시라는 거에요. 이러한 업체들은 대리점 홍보에 엄청난 비용을 사용하거든요? 


문제는 이러한 대리점 홍보비용이 고객한테 전달되야 할 현금사은품 액수를 줄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이에요.

(궁금하시면 위의 표와 유명 업체의 현금사은품 액수를 비교해보세요-!)



중요한 것은



  •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하는 업체

  • 통신사의 현금사은품 정책을 매주 갱신하는 업체


를 선택하는 것이죠.



ree




이러한 부분에서 추천드릴 수 있는 업체는 현금플러스가 있어요.


현금 플러스는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할 뿐만 아니라, 현금사은품 정책을 빠르게 반영하는 것으로 우위를 보이는 업체거든요?


게다가, 현금플러스는 현금사은품 당일지급을 원칙으로 한다는 점도 장점이죠. 이는 '해당 업체가 신뢰성 높다’는 업계의 평가 지표로 쓰이는 만큼, 이러한 부분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오피스넷 VS Flexline



대상

소호 인터넷

매장,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오피스넷

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

Flexline

중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

GiGA office

중견기업 및 IT 기업 


한편, ✔️Flexline부터는 사무실 인터넷이라기 보다는 ‘기업 인터넷’이라는 느낌이 강해지기 시작하죠.



오피스넷

Flexline

100메가 인터넷

월 41,800원

165,750원

500메가 인터넷

월 55,000원

175,950원

1기가 인터넷

월 60,500원

189,550원

SD-WAN

지원 안함

지원

보안 서비스

지원 안함

지원

관제 서비스

지원 안함

지원

(3년 약정 기준이며, Flexline은 협의따라 가격이 변동할 수 있음)


✔️Flexline의 가격이 오피스넷의 3~4배인 이유는 


  • SD WAN : PC 간에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내부망

  • 보안 서비스 : 방화벽으로 보안을 강화해 줌

  • 관제 서비스 : 외부의 침입이 있을 경우, 이를 알려줌


위처럼, 기업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서비스를 KT가 대행해주기 때문이에요.


즉, ✔️Flexline은 기업용으로 제작된 고성능 인터넷이라기 보다는, 


오피스넷 + 추가 옵션(SD WAN, 보안 서비스, 관제 서비스)
= Flexline

과 같은 개념에 가까워요



네? 위의 추가 서비스들이

실제로 도움이 되냐구요?



직원수 20명 정도의 사무실을 기준으로… 


✔️SD WAN은 거의 쓸모가 없는 반면 , ✔️보안 서비스, ✔️관제 서비스는 업종에 따라서 꽤 중요할 수 있어요.

(SD WAN은 지사 사무실이 4~5개 이상은 되야 쓸만한 기능)


전세계의 해커들은 ‘사업 규모는 있지만, 통신 보안은 취약한 중소규모의 회사’를 주로 노리는 경우가 많거든요?



20명의 직원 중 한명이라도, 

해커의 랜섬웨어에 노출되면 



사무실 내 모든 컴퓨터의 업무가 마비 될 뿐만 아니라, 해커는 랜섬웨어를 풀어주는 댓가로 수천만원의 돈을 요구하기도 하지요.


KT의 ✔️보안 서비스, ✔️관제 서비스는 이러한 부분을 관리해준다는 점에서 해킹 노출 시 상당한 피해가 예상되는데도 회사 내부에 전산팀이 없다면 Flexline이 괜찮은 서비스가 될 수도 있는 것이죠.


  

오피스넷 VS GiGA office 



대상

소호 인터넷

매장, 음식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오피스넷

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

Flexline

중소규모 사무실을 보유한 회사

GiGA office

중견기업 및 IT 기업 


한편, ‘중견기업 및 IT 기업’의 경우 GiGA office가 정답일 수도 있어요.



오피스넷

GiGA office

100메가 인터넷

월 41,800원

월 280,000원

500메가 인터넷

월 55,000원

월 480,000원

1기가 인터넷

월 60,500원

월 780,000원

보안 서비스

지원 안함

지원

관제 서비스

지원 안함

지원

인터넷 고장 시

일반처리

3시간 이내 방문보장

최저속도(SLA) 보장

일부보장

완벽보장

IP 갯수

1개

8개 ~ 16개


✔️GiGA office의 경우, ✔️Flexline의 추가옵션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 일반 공유기가 아닌 PoE 스위치등의 전용장비가 설치되며,

  • 인터넷 고장 시에는 최우선으로 출동하고,

  • 보안 서비스,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 인터넷 속도를 완벽하게 보장하고,

  • 8개의 IP를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갖추고 있는 인터넷이에요.



다만



감히 저희가 판단하기에는 '오피스 전용장비를 설치'하고, ‘인터넷 고장 시에는 최우선으로 출동’한다는 점 이외에는. 대부분의 경우 그렇게까지 매력적인 상품은 아니라고 보여져요


  • 보안 서비스, 관제 서비스를 제공 👉 더 저렴한 Flexline이라는 대안이 있음

  • 인터넷 속도를 완벽하게 보장 👉 저렴한 오피스넷으로 높은 속도의 요금제를 가입하면됨

  • 8개의 IP를 제공 👉일반 인터넷도 IP 추가옵션 가능



즉, 실질적으로 가장 큰 장점은, (1) 오피스 전용 장비로 속도가 안정되고, (2) 고장 시 출동이 빠르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죠.


1시간의 인터넷 고장이 수백만원의 피해로 이어지는 규모의 사무실이라면 충분히 가입해 볼만한 상품이지만?



만약, 그런 것이 아니라면 



단순한 돈낭비일 수 있다는 거에요. 


그러므로, GiGA office는 기업 규모가 아주 큰 경우에 선택해 볼만하다고 할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KT 기업용 인터넷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리가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

 
 

대표자 : 정보흠 | bohumpixel@gmail.com

보흠픽셀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보흠픽셀에 있습니다.

​또한, 저작권을 침해할 경우 다음과 같은 조치가 취해집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