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이 쓰레기인 이유 (+ 디시 의견 정리)
- 정보흠
- 3일 전
- 5분 분량

목차
‘스카이라이프는 KT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KT 인터넷과 똑같다’라는 말이 있잖아요?
스카이라이프가 KT망을
사용하는건 맞아요.
다만,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에는 여러 단점이 존재하거든요?

심지어,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에 대해서 조금만 찾아보면, ‘스카이라이프는 쓰레기’라는 글을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지요.
그래서 이번 페이지를
준비했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KT와 동일한 인터넷 망을 쓴다고 하는데도, 왜- 유독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을 쓰레기라고 부르는 이용자들이 많은지에 대해서 알아볼 거에요.
단순히
제 의견 뿐만 아니라,
디시 인사이드를 비롯한 여러 커뮤니티의 의견을 정리해서 알려드릴테니, 신뢰성 측면은 걱정하지 마시기 바랄께요?
망 우선순위 이슈
다시한번 말씀 드리지만,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이 KT와 동일한 인터넷 망(백본방, 종단망)을 사용하는 것은 맞아요.
이는 스카이라이프 측에서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영업 포인트죠.

다만, 'KT망을 사용한다'는 것과 'KT인터넷과 동일하다'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에요.
그 이유는
인터넷에는 ‘망 우선순위’라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일단,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이 KT 인터넷 망을 사용하는건 맞아요.
그런데, 생각해보세요?
스카이라이프는 'KT망을 사용한다'고 했을 뿐이지, ‘KT 인터넷 고객과 같은 속도를 제공한다’는 말은 한번도 단 한 적이 없어요, 그쵸?

실제로, 인터넷 커뮤니티를 보면 “분명히 같은 KT 인터넷 망인데, 스카이라이프는 속도제한이 너무 심하다”는 의견이 상당히 많지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느냐?
KT 인터넷 망의 모든 데이터에는 ‘헤더 패킷’(header packet)이 포함되기 때문이에요. 이 ‘헤더 패킷’에는 이 데이터가 어느 인터넷 회사의 데이터인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단 말이죠?
즉, KT는 이 ‘헤더 패킷’을 보고, “어? 우리 KT 인터넷 이용자가 아니네?” 하고 속도를 제한하는게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는 거에요.
물론
KT에게 너희는 스카이라이프 인터넷 속도를 제한하느냐고 물어보면? "우리는 망 중립성을 지지하며, 그러한 행위를 하지 않습니다."라는 답변이 돌아올거에요.
하지만, 통신사가 '망 우선순위'로 이용자를 차별하는 것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흔한 일이죠.
비교적 한가한 낮에는
스카이라이프 인터넷 고객도 KT 인터넷 고객과 동등하게 빠른 속도를 제공하지만?
이용자가 몰리는 밤에는
스카이라이프 인터넷 고객이 KT 인터넷 고객 보다 후순위에 밀릴 가능성이 있고, 그것은 인터넷 품질 차이로 이어져요.
실제로도, 조금만 커뮤니티를 검색해보면 스카이라이프 인터넷 속도제한에 대한 이런저런 사례는 보고 되고 있고,
오죽하면

‘괜히 KT 인터넷 망이라는 말 때문에 가입하면 고생하니까 차라리 유플러스를 가라’는 의견까지 있을 정도지요.
낮은 장비의 품질
한편, 통신 3사에 비해서 ‘장비의 품질이 낮다’는 점도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의 문제점 중에 하나에요.
다시 말할께요?
스카이라이프는 ‘KT 인터넷 망을 사용한다’고 했지, 장비까지 동일하다고 한적은 없어요.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망 뿐 만이 아니라 ✔️DSLAM, ✔️ONU(모뎀), ✔️스위치, 심지어는 ✔️공유기 까지 제대로 갖춰져야 한단 말이죠?
이러한 장비들을 KT와 공유하는 경우도 있지만, 건물에 따라서는 별도로 스카이라이프 측에서 준비해야하는 경우도 적지 않죠.
(그리고, 스카이라이프 답게 통신 3사보다 품질은 훨씬 떨어진다.)
특히나
스카이라이프의 공유기는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유명해요. 스카이라이프는 공유기로 아이피타임의 공유기를 제공하는데…

해당 모델은 악명 높은 (1) 싱글코어의 리얼텍 CPU가 탑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2) 64MB의 처참한 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상 보급형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의 공유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일반적인 CPU 코어 숫자 | 일반적인 RAM | |
보급형 | 싱글코어(1개) | 128MB |
일반형 | 듀얼코어(2개) | 256MB |
고급형 | 쿼드코어(4개) | 512MB |
최상급 | 옥타코어(6~8새) | 1GB |
(통신 3사의 일반적인 공유기는 ✔️듀얼코어에 ✔️256 RAM을 사용한다.)
때문에
현재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으로 고통받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최소한 공유기만이라도 바꿔보시는걸 추천드려요.
아주 비싼 공유기 살 필요도 없고, (1) 인텔 듀얼코어 CPU(800Mhz)에 (2) 256MB 램을 지원하는 위의 모델 정도면 충분해요.
관련글
와이파이 공유기 구매를 위한 체크리스트 (준비중)
특히나, ‘스카이라이프 처음 가입했을 땐 쓸만했는데 점점 느려진다’고 느끼고 계신 분들한테 꽤 괜찮은 해결책일 거에요.
(아이피타임 공유기의 메모리 누수 때문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
아무튼
모든 측면에서 스카이라이프의 장비는 통신 3사에 보다 떨어진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가격 문제
다음으로, 지적되는 문제로는 ‘의외로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어요.
다른 통신사와 비교한
인터넷 가격을 보여드릴께요?
100메가 인터넷 | 500메가 인터넷 | 1기가 인터넷 | |
KT | 22,000원 | 33,000원 | 38,500원 |
SKB | 22,000원 | 33,000원 | 38,500원 |
LGU | 22,000원 | 33,000원 | 38,500원 |
KT 스카이라이프 | 22,000원 | 29,700원 | 35,200원 |
확실히, 500메가 인터넷, 1기가 인터넷 구간에서는 통신 3사 보다 저렴한 가격을 보여주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100메가 인터넷에서는 다른 통신사와 가격이 똑같다는 걸 알 수 있죠?
네? 그럼 500메가 인터넷
1기가 인터넷은 가입해도
괜찮지 않냐구요?
아니요, 결코 그렇지 않아요
아무리 500메가 인터넷, 1기가 인터넷이 저렴하다고 해도, 위에서 언급했듯이 (1) 망 우선순위나 (2) 장비 품질 측면에서 손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천드리기 어렵구요?
통신 3사가 ✔️현금사은품이나 ✔️결합할인을 포함하면 훨씬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죠.
특히나 현금사은품이
중요한데,
스카이라이프에 비해서, 통신 3사는 인터넷을 가입할 때 상당한 금액의 현금을 지급한단 말이죠?
(단, 제대로 된 전문 대리점에서 가입할 경우 한정)
KT | SKB | LGU+ | |
100메가 | 9만원 | 11만원 | 30만원 |
500메가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1기가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100메가 + TV 결합 | 37만원 | 43만원 | 47만원 |
500메가 + TV 결합 | 45만원 | 48만원 | 47만원 |
1기가 + TV 결합 | 45만원 | 48만원 | 47만원 |
통신 3사 인터넷 가입할 때
팁을 하나 드리자면
✔️유튜브에 광고를 하는 업체나 ✔️유명모델을 고용하는 업체에서는 가입하지 말하는 거에요. 이러한 업체들은 홍보비용을 지나치게 많이 쓰기 때문에, 정작 소비자한테 지급되는 현금사은품의 액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단 말이죠?
중요한 것은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하는 업체
통신사의 현금사은품 정책을 빠르게 반영하는 업체
라고 할 수 있거든요?
이러한 부분에서 추천드릴 수 있는 업체는 현금플러스가 있어요.
현금 플러스는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할 뿐만 아니라, 현금사은품 정책을 빠르게 반영하는 것으로 우위를 보이는 업체거든요?
만약, 스카이라이프 보다 통신 3사의 인터넷이 좀 더 나한테 맞는 것 같다면 위의 현금플러스를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아, 그리고
혹시 “나는 품질도 중요한데, 무엇보다도 저렴한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신다면,
관련글
위의 관련글도 한번 읽어주시겠어요? 분명히 도움이 되실거에요-!
서비스 품질 이슈
다음으로 스카이라이프 인터넷가 쓰레기 소리를 듣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서비스 품질 이슈’에요.
이용자들의 불만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거든요?
고객센터에 대한 불만
수리기사에 대한 불만
하나씩 살펴보자면…
고객센터에 대한 불만
가장 큰 불만은 고객센터의 인력이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점이에요.

심한 경우에는 ‘한 시간씩 기다려도 연결이 되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지요.
반면, 통신 3사의 경우에는 (1) 지역별로 상담원을 배치할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이 몰리면 (2) 다른 지역의 상담원을 연결시키는 시스템을 갖추어 놓았기 때문에, 이러한 불만이 매우 적은 편이죠.
또 다른 불만으로는

해지를 할 때, 해지를 방해하는 행위가 매우 심하다는 불만이에요.
사실, 통신 3사의 경우에도 예전에는 해지를 안해주려고 엄청나게 소비자를 괴롭히는 행위가 많았거든요?
다만, 최근에는 방통위가 꾸준하게 이를 관리감독하고 있고, 조금이라도 해지를 방해하는 행위가 보이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행위가 많이 줄어들었죠.

다만, 스카이라이프는 소규모 회사이다보니, 이러한 방통위의 관리감독이 비교적 약하다보니 해지를 방해하는 행위가 심한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수리기사에 대한 불만
수리기사에 대한 불만도 비슷해요. 결국 문제는 인력이 지나치게 부족하다는 점이죠.


‘설치가 일주일이나 걸린다’고 한다거나, 심지어는 ‘설치기사가 잠수를 탄다’는 이야기도 있거든요?
일부의 이야기가 아니라,
대체적으로 ‘스카이라이프 설치기사’를 검색하면 나오는 공통적인 내용이다보니, 상당히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보여져요.
반면
통신 3사에서는 ‘고객과의 약속 이행이 평가에 반영되는 시스템’이다보니, 이러한 일은 거의 없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결론적으로
스카이라이프 인터넷은 저렴해 보이되, 결코 저렴한게 아니에요.
표면적인 가격은 저렴할 수 있으나, 뒤에 숨은 현금사은품, 결합할인, 장비 품질, 서비스 품질등을 종합하면 그렇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죠.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왜 스카이라이프가 쓰레기 소리를 듣는 것인지’ 확실하게 알게 되셨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