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PTV vs 케이블티비 4가지 차이 (+케이블티비 망한 이유)

작성자 사진: 정보흠정보흠

목차



제가 예전에 대리점 직원이었을 때, 선배들 보면서 제일 답답 했던것 중에 하나가요?


고객분들한테 ‘IPTV가 뭔지’에 대해서 설명할 때 “IPTV는 인터넷으로 TV 보는거”라고 설명했던 점이거든요?



아니,

이 따위로 설명하면

어떡해요?



이렇게 설명해버리면 고객분들은 ‘아하… IPTV라는건 컴퓨터로 TV 보는건가부다-’ 라고 착각해버린단 말이에요.



네?


IPTV랑 케이블티비의

차이가 뭔지

사실, 잘 모르겠다구요?



잘 오셨어요.


안그래도- 요즘 저, 옛날 얼빵한 선배들 떠올리면서, ‘아-쒸- 그 때 나였으면 이렇게 설명했을텐데’ 하면서 막 혼자 쉐복 하고 그런단 말이에요?



그런 의미에서?



지금부터 제가 IPTV와 케이블티비의 차이를 정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리도록 할테니까,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케이블티비


일단 ‘케이블티비가 뭔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사진을 봐주셔야 되요.





사실, 원래 옛날에

TV라는 물건은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 방송을 보는 물건이었어요.



한번 생각해보세요?


와-, 이거 엄청나게

좋은 기술 아니에요?



요즘에는 ✔케이블이니, ✔셋톱박스니, 별의별 이상한 잡동사니를 TV 주변에 잔뜩 설치해야만 TV방송을 볼 수 있는거잖아요?



반면, 옛날 TV는?



스마트폰 와이파이 마냥, 안테나를 통해서 무선으로 TV 방송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니까? 따지고보면, 요즘 TV 보다 오히려 옛날TV가 훨씬 진보된 기술이라고도 할 수 있겠죠?



그런데요?



사실,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 방송을 보는 옛날 TV에는 한가지 문제점이 있어요.



바로, ‘주파수 갯수’가

제한되어 있다는 점이에요.



왜- 우리나라에는 KBS, SBS, MBC 이외에도 다양한 TV채널이 있잖아요? ✔투니버스, ✔스포TV, ✔TV조선 같은 주요한 TV 채널을 모두 합치면, 약 120개를 넘어가거든요?



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 120개의 TV 채널을 보기 위해서는, 120개가 넘는 주파수가 필요한데, 무선 전파의 주파수의 갯수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옛날 TV로는 시청자한테 제공할 수 있는 채널의 갯수는 한정되어 있다는게 문제의 핵심이란 말이죠?



바로

그래서, 탄생한 것이

케이블티비 라는거에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 보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생긴 케이블을 TV에 꽂으면, 케이블을 통해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구조케이블티비거든요?


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 이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케이블티비는 주파수 갯수와 상관 없이 더 많은 방송국의 채널을 볼 수 있게 된단 말이에요?



이러한 기술적인

특징 때문에



케이블티비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만 볼 수 있는 지상파 방송(KBS, MBC, SBS)뿐만 아니라, 더 많은 방송채널을 보고 싶은 이용자들이 가입하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지요.



‘보고싶은 채널이 많아서

가입하는게 케이블티비다.’



여기까지는 이해 되시죠?



네? 그런데 그럼

IPTV는 뭐냐구요?



IPTV



사실 IPTV도 똑같아요.



IPTV무선 전파를 수신 받아서만 볼 수 있는 지상파 방송(KBS, MBC, SBS)뿐만 아니라,더 많은 방송채널을 보고 싶은 이용자들이 가입하는 상품이거든요?



다만, 케이블티비

다른 점이 있다면





IPTV는 TV에 케이블이 아니라, 인터넷 랜선을 꽂는다는 차이가 있다는 것 뿐이죠.



네? TV에 랜선 꽂으면

방송이 나오는거였냐구요?



아뇨, 안나와요. 무작정 TV에 인터넷 랜선 꽂는다고 방송이 나오는거면, 어떤 미친놈이 돈주고 IPTV에 가입하겠어요, 안그래요?





인터넷 랜선으로 방송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셋톱박스라는 기계가 필요하거든요?


(1)셋톱박스에 인터넷 랜선을 꽂고, 다음으로 (2)셋톱박스를 TV와 연결시켜야지만 방송이 나오도록 통신사가 만들어놨기 때문에? 우리는 돈을 주고 통신사의 IPTV라는 상품에 가입해서 매달 꼬박꼬박 요금을 내야하는거란 말이죠?



결론적으로



케이블티비냐, IPTV냐’의 차이는 방송을 볼 때, TV에 케이블을 꽂느냐, 랜선을 꽂느냐’의 차이라고 할 수 있는거죠.



그런데요?



요즘 케이블티비 가입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잖아요? 대부분은 IPTV에 가입한단 말이죠?


사람들이 바보도 아니고, 이유도 없이 더 비싼 IPTV에 가입할리는 없지 않겠어요?



네, 맞아요.



비록, 케이블티비IPTV의 차이는 케이블을 꽂느냐, 랜선을 꽂느냐’의 차이일 뿐이지만? 그 내부를 들여다보면, 케이블티비를 가입하는게 무조건 손해일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는 거에요.



케이블 vs IPTV 차이



다시한번 말씀 드리지만?



케이블티비IPTV도 기본적으로는 'TV 채널 갯수(주파수 갯수)가 부족한 옛날 TV를 대체하기 위해서 탄생한 기술'인건 맞아요.



그러나



현실적으로 케이블티비IPTV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죠. 지금부터, 도대체 무슨 차이가 있는지 하나하나 소개해 드릴께요?



  • 방송갯수 차이

우리가 케이블티비IPTV를 보는 이유는 TV 채널의 갯수 때문이라고 했잖아요?



즉, TV 채널 갯수가 적으면?



개-뿔, 굳이 케이블티비IPTV를 가입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란 말이에요?


그런 의미에서 아래의 표를 봐주시겠어요?





위의 표는 KT의 IPTV딜라이브의 케이블티비 상품을 비교한 표 거든요?



보시면, 케이블티비

저렴한 것은 맞지만?



가격 차이는 4,400원에 불과한 반면? (15,400원 - 11,000원 = 4,400원) 채널 갯수의 차이는 3배 이상 차이가 나죠?



정리하자면,



절대가격은 케이블티비가 저렴한 반면, 가성비는 IPTV가 압도적으로 뛰어나다는 뜻이 되는거죠.



네? 채널 갯수가

그렇게는 필요 없으니까.

케이블티비가 낫다구요?



아직 안끝났어요.



  • 혜택 차이 (현금, 결합할인)

네, 무슨 말 하고싶은지 알아요.



사실 IPTV 채널이

200개든, 300개든



우리 이 채널들 다 보는거 아니잖아요? 어차피, 우리가 맨날 보는 채널은 엠넷이나 tvN 같은 일부 인기채널로 한정되어 있단 말이에요?



즉,

채널 갯수가 좀 적더라도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요금제 자체가 저렴한 케이블티비가 더 매력적인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현실은 전혀 그렇지가 못하다는 거죠.



여러분 혹시

현금사은품이라고 아세요?



현금사은품이란, 인터넷 상품이나 IPTV를 가입하는 경우, 통신사에서 지급하는 일종의 페이백이거든요?


아래의 표를 봐주시겠어요?





여기서 중요한건, 통신 3사 모두 인터넷과 IPTV를 동시에 가입할 때, 최고 수준의 현금사은품을 제공한다는 점이에요.


가령, SK에서 인터넷 100메가 + IPTV 상품을 가입할 경우, 지급되는 현금사은품은 42만원인데?


이는 3년 약정(36개월)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받는 현금사은품이므로…



42만원 ÷ 36개월

= 11,666원



사실 상, 매달 11,666원을 더 할인받는다는 뜻이라고 할 수 있죠.



아! 참고로,

IPTV 가입하실 분들은

이거 알아두세요?



무조건 인터넷 + IPTV에 가입한다고 현금사은품을 많이주는건 아니거든요?


최종적으로 현금사은품의 액수를 결정하는 것은 인터넷 가입센터이기 때문에? ‘인터넷 가입센터가 얼마나 욕심을 부리느냐’에 따라서, 현금사은품의 액수가 달라질 수 있거든요?


즉, 욕심 안부리고, 현금사은품 제대로 주는 인터넷 가입센터에서 가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인데…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에요.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전국에 있는 인터넷 가입센터의 DB를 취합하여,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센터거든요?


이러한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찾아준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죠.





그러므로, 만약 인터넷 + IPTV 가입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경우, 이러한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도 한번 참고해주시길 바랄께요?



  • 서비스 차이

그리고, IPTV케이블티비를 비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서비스 차이에요.


IPTV는 KT, SK, U+ 같은 통신사가 서비스 하는 반면? 케이블티비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서비스를 한단 말이죠.



SO 얘네들이요…?

악명이 하늘을 찔러요.



제가 예전에 SO 얘네들이 쓰레기인 이유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혹시 왜 SO의 서비스가 쓰레기인지 궁금하시면, 한번 아래의 참고링크를 읽어주시기 바랄께요?



  • 셋톱박스 차이

그 밖에도 케이블티비의 문제로는, 열악한 셋톱박스 성능도 포함되요.


사실, 최근에는 IPTV에 있어서, 셋톱박스의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거든요?



셋톱박스로 단순히

TV방송을 보는

용도뿐만이 아니라?



✔다시보기 서비스를 이용한다던가, ✔AI 스피커로서 활용한다던가, ✔교육컨텐츠를 이용한다던가 하는 등의 범용성이 늘어났기 때문에? 오늘날, 셋톱박스는 거실의 PC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단 말이에요?



그런데



케이블티비의 셋톱박스는 이러한 성능면에서 최악의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에, 시대를 따라가지 못한다고 할 수 있지요.



네? 그럼 케이블티비

무조건 쓰레기냐구요?



음… 대부분의 경우에는 쓰레기가 맞는데, 몇몇 케이스의 경우에는 가입해볼만 해요.



케이블티비가 유리한 경우


  • 첫째, 인터넷을 가입하지 않는 경우

통신사의 경우, 현금사은품이니, 결합할인이니 하는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잖아요? 다만, 이는 인터넷 + IPTV를 동시에 가입하기 때문에 주는 서비스란 말이에요?



IPTV’만’ 가입할 경우에는?



그 가성비가 급격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케이블티비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고 할 수 있죠.



  • 둘째, TV채널 갯수가 그다지 필요 없는 경우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케이블티비의 경우, 채널 갯수가 상대적으로 적잖아요?



당연히 채널 갯수가

적어도 상관이 없다면?



충분히 케이블티비도 가입해볼만 하겠죠?


이런 부분을 충분히 고려해주신 다음에? IPTV로 가입할지, 케이블티비를 가입할지를 결정해주시기 바랄께요?


아마 대부분 IPTV를 가입하게 되실 것 같긴한데… 최소한 왜 IPTV를 가입해야 하는지, 케이블티비의 문제점이 무엇인지, 이번 페이지에서 확실하게 배우게 된 계기가 되셨길 바랄께요-!


이상 인꿍이 였습니다-!


대표자 : 정보흠 | bohumpixel@gmail.com

Copyright ©보흠픽셀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에 게시된 모든 콘텐츠, 게시물의 저작권은 보흠픽셀에 있습니다.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 및 게시물에 대한 무단적인 수집, 복제, 배포를  엄격하게 금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