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삼성 모니터 추천가이드 (+디시 의견정리)
- BH

- Sep 25
- 6 min read

목차
삼성 모니터에는 저렴한 가격에 괜찮은 스펙을 지닌 모델들이 꽤 많은 편이거든요?
다만,
다른 브랜드에 비해, (1) 일반 모니터의 라인업이 빈약할 뿐만 아니라, (2) 커브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3) VA 패널을 사용하는 모델이 많아서, 초보자 입장에서는 입문하기 까다로운 모니터라고 할 수 있지요.
걱정마세요. 저희 BH픽셀이 도와드릴께요.
바쁘신 분들은
아래의 항목을 선택하셔서, 빠르게 제품 추천을 받으셔도 좋습니다. 😎
다만, ✔️왜 해당 제품을 추천하는지, ✔️삼성 모니터에는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좀 더 저희와 함께해주세요.
단순히,
저희 의견 뿐만 아니라,
✔️디시 인사이드, ✔️퀘이사존을 비롯한 다양한 커뮤니티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알려드릴테니, 신뢰성은 걱정하지 마시길 바랄께요?
삼성 모니터 모델명 읽는법
LG전자가 ✔️울트라기어(게이밍), ✔️울트라HD(일반)라는 네이밍로 모니터를 분류해 놓은 것처럼, 삼성전자도 네이밍으로 모니터를 분류해 놓고 있거든요?
때문에, 해당 네이밍을 확인하면 ‘내가 구매하려는 제품이 어떤 포지션인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실 수 있죠.
(대부분의 삼성 모니터에는 네이밍이 적혀있다.)
다만, 해당 네이밍은 제품 포지션을 알려줄 뿐이라서, 모니터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모델명을 읽을 줄 알아야 하지요.
걱정마세요. 지금부터 읽는 법을 알려드릴거에요.

예시를 위해 ‘LS32DG504’라는 모델을 살펴봅시다. 🤓
LS : 삼성모니터 앞에 반드시 붙는 코드
해당 제품이 '모니터인지, TV인지'를 구분하게 해주는 코드이에요.
(삼성 TV의 경우, KX가 들어감)
32 : 해당 모니터의 사이즈를 알려주는 코드
이 숫자를 통해서, 해당 모니터가 몇인치 인지 파악하실 수 있죠.
D : 해당 모니터의 출시시기를 알려 주는 코드
B라고 적혀있다면, D보다 2세대 이전의 제품(B,C,D)라고 해석 하시면 되요.
(다만 OLED 등의 고급 모니터는 다른 체계를 사용함)
G : 게이밍 모니터의 여부를 나타내는 코드
모델명에 G라고 적혀있으면, 해당 모델이 게이밍 모니터라는 뜻이에요
504 : 모델의 등급을 나타내는 코드
중요한 것은 맨 앞의 숫자에요.
3 : 저가형 제품
5 : 중급형 제품
7 : 고급형 제품
9 : 최상급 제품
해당 숫자를 통해서, ‘이 제품이 삼성 모니터 중에서 어느 정도 등급에 해당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죠.
즉, ‘LS32DG504’ 모델은
TV가 아닌 모니터이며, 32인치의 사이즈를 갖고 있고, D세대에 출시했으며, 게이밍 모니터로 출시된, 중급형 모니터 라고 정리할 수 있겠죠?
여러분들도, 앞으로는 이런 모델명을 통해서 ✔️게이밍 모니터이든, ✔️스마트 모니터이든, '대략적으로 어떤 제품인지' 직관적으로 파악하실 수 있을거에요.
네? 그런데 삼성모니터에는
어떤 특징이 있냐구요?
특징1. 한정된 모델 숫자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는 다른 브랜드와 다르게, 삼성 모니터는 아이폰 처럼 소수의 모델에만 집중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어요.
예시를 들면,
다른 브랜드에서는 흔한 ✔️QHD 24인치 모니터 제품이 삼성 모니터에는 존재하지 않구요? 동일한 스펙의 모니터를 검색해보면, LG전자나 델에 비해서 모델의 갯수가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는 걸 알 수 있죠.
사실, 이러한 특징은
삼성 모니터의 장점이자, 단점이에요.
모델의 갯수가 적기 때문에, 규모의 경제를 통해서, 같은 스펙이라도 다른 브랜드의 모니터 보다 저렴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즉, 가성비가 좋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검색을 해도 소비자가 원하는 스펙의 모니터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죠.
특징2. VA 패널 선호
한편, 삼성 모니터의 다른 특징으로는 VA 패널을 사용한 제품이 많다는 점이 있어요.
다들 아시다피시, LCD 모니터에 들어가는 패널에는 총 3가지가 있잖아요?
모니터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IPS 패널이거든요?
IPS 패널은 ✔️색 재현률이 훌륭하고, ✔️시야각이 더 넓으며, ✔️응답속도가 비교적 빠른 편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PC환경에 적합하기 때문이죠.
다만
유독 IPS 패널이 VA 패널에 비해서 밀리는 부분이 있는데 그게 바로 ‘명암비’에요.

위의 스크린샷을
봐주시겠어요?
왼쪽은 IPS 패널을 사용한 LG의 32GP850이고, 오른쪽은 VA 패널을 사용한 삼성의 ODYSSEY G7인데…
왼쪽의 어두운 건물의 디테일을 비교했을 때,
같은 화면임에도 불구하고

IPS 패널의 경우, 화면이 완전 어두워져서 디테일이 죽어버린 반면?

VA 패널의 경우, 건물의 디테일이 살아있는 것을 알 수 있죠?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IPS 패널과 VA 패널의 ‘명암비’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명암비’높은 VA 패널은, 어두운 부분을 좀 더 디테일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죠.
✔️넷플릭스 영화나,
✔️고사양 콘솔게임의 경우
어두운 장면이 상당히 많이 등장 하잖아요?

때문에, 이러한 콘텐츠를 자주 즐기시는 분들은 VA 패널의 모니터를 구매하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일 수도 있어요.
다만
VA 패널이 반드시 좋은 점만 있는건 아니죠. 실제로 인터넷 상에는 VA 패널에 대해서 부정적인 평가가 많은 편이거든요?

특히나, 자주 지적되는 것이 VA 패널의 낮은 응답속도에요.
아무리 모니터의 주사율이 높아도, VA 패널을 사용해서 응답속도가 낮아지면 잔상이 발생해서 제대로 된 고주사율을 체감하기 어렵다는 점 때문이죠?
문제는
삼성 모니터는 일반 모델은 물론 게이밍 모니터에 조차 VA 패널을 넣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는 거에요.
응답속도(잔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려면, VA 패널로는 120hz 이하의 주사율이 권장 되는데?
삼성전자는 게이밍 모니터에 VA 패널에 200hz의 주사율을 탑재하여 판매하는 경우까지 있으니, VA 패널을 잘 아시는 분들의 눈에는 이러한 삼성전자의 행보가 이상하게 보일 수 밖에 없는 거죠.
물론
오디세이 G7 이상 모델의 경우, IPS 패널과 비슷한 응답속도를 탑재한 고급 VA 패널이 탑재된 모델도 존재하구요? 최근에는 IPS 패널을 탑재한 모델도 적극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만큼,
무작정 삼성 모니터를 기피하실 필요는 없어요.
다만
해당 모델을 구매하기 전에 'VA 패널인지, IPS 패널인지'는 꼼꼼하게 체크를 하셔야 한다는 점 기억해주시기 바랄께요?
특징 3. 커브드 선호
삼성 모니터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커브드 모니터를 선호하는 경향이 유독 다른 브랜드에 비해서 높다는 점이에요.

화면이 휘어있는 커브드 모니터는 게임이나 영화감상 시에 몰입감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엑셀이나 포토샵에서 기하학적인 디자인을 할 때는 공간이 왜곡되어 보인다는 단점이 있어요.
관련글
만약, 이러한 커브드 모니터에 대해서 좀 더 자사하게 알고 싶으시다면 위의 관련글을 한번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실거에요.
결론적으로
삼성의 커브드 모니터는 일부 이용자에게는 매력적인 요소일 수 있지만, 다양한 목적으로 모니터를 사용하는 분들에게는 섯불리 구매해서는 안되는 모니터라고 할 수 있죠.
(아니, 도대체 왜- 삼성은 모델 갯수도 적으면서 커브드를 메인으로 세우는 거임?)
다만
2020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삼성 모니터의 커브드 성향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니, 커브드가 싫으신 분들은 '내가 구매하려는 모니터가 구형모델인지' 유심하게 살펴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
제품 추천
물론, ✔️VA 패널이나 ✔️커브드를 사용하는 모델이 많다는 점은 단점으로 지적되지만, 모델만 잘 고르면 평균 이상의 가성비를 보여주는 것이 또 삼성 모니터이지요.
(때문에, 모니터 덕후에게 삼성은 애증의 존재입니다.🥲)
걱정마세요.
저희 BH픽셀이 삼성 모니터를 선택하는데 실패하지 않도록 도와드릴께요.
S24D300 (예산 기준 : 가격 중시)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24인치 모니터로,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모니터에요.
해당 제품은 가성비 포지션을 담당하는 에센셜 시리즈인데,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높은 내구성을 자랑하는 모델이지요.
최근에 이 모델의 주사율을 75hz→100hz로 높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게이밍에도 대응을 하게 되었다는 점은 반가운 소식이죠.
저렴한 모델이지만 삼성 모니터인 만큼 A/S도 확실하게 지원된다는 점도 포인트라는 점 기억해주세요?
S27D300 (예산 기준 : 가격 중시)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27인치 모니터로,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모니터에요.
S24D300의
27인치 버전이에요.
마찬가지로 75hz->100hz의 주사율 성능 향상을 시킨 제품이기 때문에, 게이밍에 어느정도 대응을 해요.
24인치 모니터로는 조금 아쉽다고 여겨지신 다면, 해당 S27D300이 대안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S27DG500 (예산 기준 : 가성비 중시)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27인치의 QHD 모니터에요.
일명, ‘국밥’으로 불리는
유명한 모델이죠?
크고 작은 이슈를 달고 다니는 다른 형제들과 다르게, 삼성 오디세이 시리즈 중에서도 큰탈없이 꾸준한 인기를 보여주는 제품이에요.
이 제품이 인기를 끄는
이유는…
IPS 패널👍
커브드 아님👍
QHD 해상도
180hz 주사율
라는 스펙이 상당히 인기있는 스펙임에도 불구하고, ✔️LG전자나 ✔️델 같은 다른 메이저 브랜드 보다 가격이 더 저렴하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고 할 수 있죠.
그나마, 비슷한 제품으로는 ✔️필립스의 27M2N5500가 있는데- 가격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을 뿐더러, 인지도 측면에서는 삼성과는 비교가 안된단 말이죠?
그러므로
해당 스펙이 마음에 드시는 분들은 충분히 괜찮은 선택일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S32CG550 (예산 기준 : 가성비 중시)
삼성에서 출시한 32인치의 QHD 모니터에요.
✔️VA 패널
✔️커브드 모니터
라서, 거부감을 느끼실 수도 있지만...
사실- 32인치 모니터의 경우, 경쟁적인 온라인게임 보다는 고사양 콘솔게임에 적합하기 때문에, ✔️VA 패널이나 ✔️커브드 모니터가 오히려 유리한 측면 있단 말이죠?
게다가
✔️QHD 해상도, ✔️144hz 주사율 같은 다른 게이밍 스펙도 훌륭하기 때문에 가격을 생각하면 매우 괜찮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죠.
네? 어떤 모니터를 고를지
아직 망설이고 계신다구요?
그러시다면, 이번 기회에 모니터에 대해서 제대로 배워보세요.
관련글
만약 모니터에 대한 기본 개념이 부족하시다면, 위의 관련글을 읽어보시겠어요? 장문의 글이긴 하지만, 한번만 읽어두시면 모니터에 대한 모든 지식을 완벽하게 습득하실 수 있을 거에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삼성 모니터의 장단점에 대해서 확실하게 이해하셨길 바랄께요?
이상 BH픽셀이었어요!




![[2025년] QHD 모니터 추천가이드 (+디시 의견정리)](https://static.wixstatic.com/media/45d0e1_74834b87f21e4cf7985f664419a93b3f~mv2.png/v1/fill/w_980,h_613,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45d0e1_74834b87f21e4cf7985f664419a93b3f~mv2.png)
![[2025년] 듀얼 모니터 추천가이드 (+디시 의견정리)](https://static.wixstatic.com/media/45d0e1_6888031e49ed44b48dfb6b4bcf3f80d0~mv2.png/v1/fill/w_980,h_551,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45d0e1_6888031e49ed44b48dfb6b4bcf3f80d0~mv2.png)
![[2025년] 43인치 모니터 추천 & 크기 체감 (+ 디시 의견정리)](https://static.wixstatic.com/media/45d0e1_d76caf6a24b24699ad36492311bd07f4~mv2.png/v1/fill/w_980,h_613,al_c,q_90,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45d0e1_d76caf6a24b24699ad36492311bd07f4~mv2.p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