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기가 인터넷이 '시기상조'인 이유
- 정보흠
- 8월 9일
- 6분 분량

목차
10기가 인터넷이 탄생한지도 어느덧 10년 정도가 흘렀잖아요?

그런데, 아직도 사람들은 10기가 인터넷을 쓸데없는 돈낭비라고 부르고 있단 말이죠?
가격 | |
100메가 인터넷 | 22,000원 |
500메가 인터넷 | 33,000원 |
1기가 인터넷 | 38,500원 |
10기가 인터넷 | 88,000원 |
(10기가 인터넷은 3년 약정에 88,000원이다)
때문에, 원래부터도 비싼 가격으로 인기가 없는 편이었는데... 심지어, 여기에 결정타가 된 것이 유튜버 잇섭의 ‘10기가 인터넷 폭로 사건’이었죠.
관련글
이 사건을 기점으로,
10기가 인터넷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더욱 커지게 되었고? 결과, 10기가 인터넷은 지금까지도 철저하게 외면 받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거든요?
네? 도대체 10기가 인터넷은
뭐가 그리 안좋은거냐구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1) 10기가 인터넷이란 무엇인지, (2) 도대체 왜 사람들한테 외면을 받는 것인지에 대해서 알아볼까 하거든요? 최대한 자세하게 알려드릴테니,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10기가 인터넷?
‘10기가 인터넷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해하려면, 먼저 인터넷 속도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좀 더 IT 전문가처럼 이해 하실 필요가 있어요.
걱정마세요.
제가 오늘 여러분들을
IT 전문가로 만들어 드릴께요.
평범한 사람들은 흔히, “인터넷이 빠르다”, “인터넷이 느리다”라는 식으로 인터넷 속도를 표현 하잖아요?
하지만,
IT 전문가들은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지연시간(응답속도)
대역폭
라는 구체적인 용어를 사용해서 인터넷 속도를 표현해요. 하나하나 알아볼까요?
지연시간(응답속도) : 인터넷 데이터가 얼마나 빠르게 내 컴퓨터에 도착하는가
예를 들어볼께요?
여러분이 검색창에 구글에 김치라고 입력했어요.
그럼, 구글의 서버는 “아! 이용자가 김치 사진을 요청했네? 빨리 이용자의 컴퓨터에 김치 사진 보내줘야지!” 라고 생각하고 김치 페이지를 나한테 보내 주겠죠?

이 때, ‘구글이 김치 사진을 나한테 보내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 지연시간(응답속도)이에요.

(참고링크 : https://fast.com/ko/# )
인터넷 속도테스트 사이트를 보면, ‘내 인터넷의 지연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알려주는데, 매우 빠른 인터넷 환경이라면 지연시간은 대략 5ms(0.005초)에서 10ms(0.010초)라고 할 수 있죠.
반면,
대역폭 : 1초 동안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내 컴퓨터에 도착하는가
대역폭은 ‘데이터의 양’이에요.
예를 들어서,
대역폭이 높다면 1초 동안 1000mb 용량의 영상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반면? 대역폭이 낮다면 1초 동안 3mb의 음악파일이나 겨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겠죠.
자, 여러분들은
✔️지연시간과 ✔️대역폭, 둘 중에 무엇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세요?
네, 물론
둘 다- 중요하죠.
하지만, 둘 중에 더 중요한 것은 무조건 ✔️지연시간이에요.
인터넷이라는건 대부분 실시간 기반이잖아요?
웹페이지를 누를 때,
유튜브에 댓글을 달 때,
온라인게임을 할 때,
얼마나 서버가 빠르게 반응을 하는지에 따라서, ‘실제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고 체감할 수 있는데, 이 말은 즉, ✔️지연시간이 짧을수록 내가 인터넷을 더 쾌적하다고 느낄 수 있게 된다는 거죠.
그런데요?
사실, 10기가 인터넷이라는건 지연시간에는 전혀 관여를 하지 않고, 오로지 ✔️대역폭에만 관여를 하거든요?
1초 당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 | |
100메가 인터넷 | 10MB/s |
500메가 안터넷 | 50MB/s |
1기가 인터넷 | 100MB/s |
10기가 인터넷 | 1250MB/s |
10기가 인터넷의 ✔️지연시간은 100메가 인터넷과 완전히 동일해요. 다만, 1초 당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1250MB/s로 극단적으로 높을 뿐이죠.
문제는
이렇게 1초 당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만 높아서는 좋은 점이 그다지 많지 않다는 거에요.
실제로, 대부분의 인터넷 이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서비스를 살펴볼까요?
1초 당 사용하는 데이터의 양 | |
유튜브 (1080p) | 0.625 MB |
넷플릭스 (4K) | 1.875MB |
네이버 페이지 | 7MB |
인스타그램 | 5MB |
온라인게임 (LOL 기준) | 0.04MB |
100메가 인터넷으로 1초 당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10MB인데… 위의 표를 보시면 우리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인터넷 서비스는 매우 1초 당 적은 양의 데이터만을 사용하고 있죠?
즉, 우리들이 평소에
사용하는 대역폭에 비해서?
10기가 인터넷의 대역폭(1250MB/s)는 너무 과한 오버스펙이기 때문에, IT 지식에 빠삭하신 분들은 쓸데없는 돈낭비라고 하는 것이죠.

그러므로
굳이 빠른 인터넷을 가입하고 싶으시다면, 10기가 인터넷 보다- 500메가 인터넷이나 1기가 인터넷을 가입하시는걸 추천드려요.
이러한 인터넷들은 이용하기에 (1) 충분히 빠른 대역폭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2) 매우 합리적인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기 때문이죠.
특히나
KT | SKB | LGU+ | |
500메가 인터넷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1기가 인터넷 | 14만원 | 17만원 | 33만원 |
500메가 + TV 결합 | 45만원 | 48만원 | 47만원 |
1기가 + TV 결합 | 45만원 | 48만원 | 47만원 |
100메가 인터넷에 비해서 500메가 인터넷과 1기가 인터넷은 훨씬 많은 현금사은품을 지급하고 있단 말이죠? 이러한 현금사은품 까지 계산해 보시면 그리 비싸지 않다는걸 이해하실 수 있을 거에요.
참고로
현금사은품은 '어떤 전문 대리점에서 가입하느냐'에 따라서 그 액수가 조금씩 달라요.
작은 팁을 하나 드리자면,
✔️유튜브에 광고를 하는 업체나 ✔️유명모델을 고용한 업체에서는 가급적 가입하지 말아주세요. 이러한 업체들은 막대한 홍보비용을 지불 하는데, 결국 이 홍보비용이 현금사은품의 액수를 줄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중요한 것은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
통신사의 정책을 매주 빠르게 적용하는 업체
에서 가입하는 거에요.
이러한 부분에서 추천드릴 수 있는 업체로는 현금플러스가 있어요. 현금플러스는 법적으로 허용된 최대치의 현금사은품을 지급하고 있으며, 통신사 정책을 매주 빠르게 반영하는데 우위를 보이는 업체거든요?
만약, 인터넷 가입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이러한 현금플러스도 후보에 넣어주시기 바랄께요?
네? 그래도 10기가 인터넷이
더 괜찮아보인다구요?
사실, 10기가 인터넷은 문제점은 단순히 비싼걸로 끝나지 않아요. 이 밖에도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단 말이죠? 지금부터 그 문제점을 하나하나 알려드릴께요.
문제점 1. 장비 셋팅의 어려움
첫번재 문제점은 ‘10기가 인터넷에 가입했다’고 10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게 아니라는 점이에요. 10기가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거기에 걸맞는 장비를 갖고 있어야 하죠.
1. 랜카드
가장 중요한 장비는 랜카드에요.
아무리 10기가 인터넷을 가입해서 1초당 1250MB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고 해도? 만약, 내 컴퓨터가 1초당 100MB 밖에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이건 의미가 없는거잖아요?
문제는
대부분의 컴퓨터는 1초 당 100MB 밖에 받아들이지 못한다는 사실이에요.
내 컴퓨터가 '1초 당 최대 몇MB의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랜카드라는 부품인데,
1초 당 1250MB의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는 10기가 인터넷 전용 랜카드의 가격은 10만원 정도란 말이죠?
'혹시 내 컴퓨터의 랜카드는 10기가 인터넷을 지원하지 않을까?'라고 희망회로를 돌리지 마세요. 여러분이 컴퓨터 부품을 고를 때, 손가락이 미끄러진게 아니었다면 그런 일은 없을테니까요.
CPU & SSD
당연하지만, 컴퓨터의 핵심부품인 CPU와 SSD의 성능도 중요해요.
특히나
SSD가 치명적인데
구버전 SATA SSD의 경우 1초 당 데이터 전송속도는 750MB 거든요? 10기가 인터넷은 1초당 1250MB이기 때문에, SATA SSD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해요.
만약, 10기가 인터넷을 가입하실 예정이시라면 이 부분도 한번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랜선 케이블
흔히 사용되는 랜선은 CAT나 CAT5e와 같은 랜선이거든요? 문제는 이러한 랜선의 최대 대역폭은 1초 당 100MB 정도라는거에요.
때문에,
10기가 인터넷을 사용하겠다면, 반드시 랜선 교체작업도 함께 해주셔야 하구요.
네? 그래도 돈을 쓰면
되는거 아니냐구요?
네, 돈을 쓰면 10기가 인터넷을 완벽하게 설치할 수 있죠.
다만
돈을 써서 완벽하게 ‘내 컴퓨터로 완벽하게 10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셋팅 했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10기가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하기는 어려워요.
문제점 2. 10기가 지원 서버 부족
자, ✔️10기가 인터넷도 설치 했고, ✔️랜카드, ✔️CPU, ✔️SSD, ✔️랜선도 완벽하게 준비했어요. 이제 10기가 인터넷을 제대로 사용할 일만 남았는데…
여기서
‘정말 심각한 문제’는
여러분한테 1초당 1250MB의 속도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이에요.
아래의 표는 글로벌 IT 기업의 서버 다운로드 속도를 정리한 표 거든요?
서비스 | 1초 당 보내줄 수 있는 데이터의 양 |
배틀넷 | 32MB |
스팀 | 50MB |
원드라이브 | 38MB |
구글드라이브 | 40MB |
토렌트 | 50MB |
명심하세요?
글로벌 IT기업은 절대 10기가 인터넷에 걸맞는 대역폭(1250MB/s)으로 데이터를 보내주지 않아요. 이건 10년이 지나도 변함이 없을거에요.
왜냐?
더 빠른 속도로 우리에게 데이터를 보내준다는 것은 그만큼 ‘더 많은 서버를 확보해야한다’, ‘더 많은 비용이 든다’는 뜻이기 때문이죠.
뭔가
이상하지 않으세요?
나는 기껏 비싼 돈을 들여서 10기가 인터넷을 준비 했는데, 아무도 나한테 10기가 인터넷의 속도로 보내줄 수 없어요.
즉, 이 시점에서 이미 10기가 인터넷은 쓸데없는 돈낭비가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죠.

그러므로
어지간하면, 100메가 인터넷이나 500메가 인터넷에서 결정하시길 바래요.
관련글
이 것이 훨씬 현실적인 대안일 테니까요.
문제점 3. 다양한 방해 요소들
한편,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도 10기가 인터넷을 방해하는 일이 있어요.
이에 대해서
정리를 해주신 분이 계신데
네이버 블로그의 ‘사쿠야짱’이라는 분이시거든요?

이 분께서는 ‘KT 10기가 인터넷 속도저하 문제 해결’이라는 게시물을 통해서 10기가 인터넷과 충돌하는 여러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정리해주셨죠.
인터넷 백신
카스퍼스키와 같은 일부 전문 백신의 경우, 바이러스를 탐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드라이버에서 감시를 진행하거든요?
문제는
카스퍼키스가 볼 때, 10기가 인터넷의 속도는 워낙 드문 속도이다보니, 이것을 ‘바이러스에 의한 비정상적인 접근’으로 판단하고 대역폭을 차단하는 일이 발생한다는 것이죠.
인터넷속도 최적화 어플
여러분들 혹시 인터넷에서 ‘온라인게임 속도 빠르게 해주는 어플’같은거 다운로드 받으신 적 없나요?
얘네들도
10기가 인터넷을 방해해요.
대표적으로 NetLimiter나, cFosSpeed 같은 어플들이 그러한데, 얘네들은 내 컴퓨터로 들어오는 모든 패킷을 감시하는 과정에서 인터넷 속도를 제한하는 일이 있죠.
은행 보안어플
얘네들은 유명하죠? 마치 자기네들이 백신이라도 되는 양, 내 컴퓨터를 통제하는데, 어떤 보안어플의 경우에는 인터넷 속도도 통제해요.
즉,
10기가 인터넷이 워낙 특별한 케이스이다보니, 내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이를 제대로 못하는… ‘호환성 이슈가 발생하기 쉽다'는 거에요.
정리해볼께요?

10기가 인터넷은?
(1) 지나치게 오버스펙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용하기에 (2) 꽤 까다로운 조건과 (3) 다양한 변수들이 많아서- 제대로 추천할 수가 없어요.
물론
10년 뒤에는 10기가 인터넷의 활용성이 좀 더 높아질 수도 있겠죠.
다만, 아직까지는 10기가 인터넷은 사용하기 매우 어렵다는 점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알아가셨길 바랄게요?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