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얼마전에 남동생한테
전화가 왔는데요?
저한테 다짜고짜 “컴퓨터를 인터넷에 어떻게 연결하냐”는 거에요.
‘남자새끼가 랜선 하나 끼울줄 모르냐’고 성차별적인 쌍욕을 하려다가, 한번 생각해보니까? 남동생 어렸을 때부터, 공유기 만지고, 랜선 다루는건 다 제가 했더라구요?
원래 주변에, 저처럼 컴퓨터 잘 다루는 애가 있으면, 은근히 의지하게 되면서, 좀처럼 컴퓨터 실력이 늘지 않는단 말이에요?
여러분들도
제 남동생 같은 케이스죠?
걱정마세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을 제 남동생 다루듯이 거칠게 알려드릴테니,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기초 점검사항
저- 근데,
뭐 하나만 물어봐도 되요?
여러분 집에 인터넷이 설치되어 있는건 맞죠?
아니, 가끔 무슨 인터넷을, 뭔 수돗물 마냥 무조건 랜선을 꼽기만 하면 저절로 되는 물건인줄 알고 계신 분들이 있더라구요?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신사에 인터넷 가입 신청을 하셔야 되요.
매달 통신사한테 일정금액을 따박따박 바쳐야? 통신사 얘네들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거죠.
물론, 일부 원룸에는 공용인터넷이라고 해서, 따로 통신사 가입하지 않아도 바로 사용 가능한 경우가 있긴 한데…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무조건 인터넷 가입부터 해줘야 된다는 점 기억해주세요?
네? 그럼 인터넷 가입은
어떻게 하는거냐구요?
인터넷 가입은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서 할 수 있지만, 통신사 고객센터에서 가입하는 것은 반드시 손해에요.
왜냐?
통신사 고객센터는 현금사은품을 혜택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거든요. 이게, 제대로만 받으면 거의 50만원 가까이 되는 돈이기 때문에?
만약, 인터넷을 가입하신다면,
무조건
인터넷 가입센터를 통해서
가입하는게 이득이라는 거에요.
그런데요? 여기서 중요한건, 인터넷 가입센터에 따라서도, 현금사은품의 액수가 전부 다르다는 사실이거든요? 그래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제대로 된 인터넷 가입센터를 찾아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에요.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전국에 있는 인터넷 가입센터의 DB를 취합하여,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센터거든요?
현금사은품은 변동성이 심해서, 매번 가입센터의 순위가 달라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인터넷비교 가입센터를 이용하면, 시기에 상관없이 업계 최고수준 혜택을 지급하는 업체를 찾아준다는 장점이 있죠.
그러므로, 인터넷 가입을 앞두고 계시거나, 인터넷 약정기간이 끝나신 분들은 이러한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도 한번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네? 인터넷은 이미
연결되어 있다구요?
네, 알겠어요. 그렇다면,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컴퓨터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께요?
랜선으로 연결하기
인터넷 연결의 기본이 뭐에요? 랜선이잖아요?
이렇게 생긴걸?
컴퓨터에 꽂아야 인터넷이 연결된단 말이죠?
그런데, 랜선을 컴퓨터에만 꽂는다고 인터넷이 되요? 아니죠? 컴퓨터에 랜선의 꽂았으면, 랜선의 반대편에도 무언가를 꽂아야 되는거잖아요?
그 때, 여러분들의 눈에는 이런게 들어와요.
‘응? 벽을 살펴보니까, 이런 콘센트가 있네? 이거 랜선이랑 사이즈가 딱 맞잖아요? 여기다가 랜선을 꽂으면 인터넷이 되는건가?’ 라는 생각이 드실거에요, 그쵸?
그런데요?
여기다가 랜선을 꽂아도
인터넷은 불가능해요.
왜냐? 통신사들은, 1가구 당 랜선 콘센트를 한 개만 쓸 수 있게 해놓으니까요.
집에 있는 다른 방도
한번 봐보시겠어요?
아마, 각 방마다 위의 사진과 같은 랜선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을거란 말이에요? 그런데 만약, 집안 모든 방의 랜선 콘센트에 랜선을 꽂아서 컴퓨터를 이용하면 어떻게 되겠어요?
형제가
삼형제인 경우에는?
컴퓨터 3대에다가 각자 랜선에 꽂아서 인터넷을 이용할테니, 인터넷 이용량이 엄청나게 많아지겠죠?
이는
통신사의 손해란 말이죠?
때문에, 기본적으로 랜선 콘센트 여러개가 있어도, 통신사들은 한개의 콘센트를 통해서만 인터넷을 이용하게 해놓는다는 거에요.
즉,
랜선을 연결하고 싶다면?
인터넷 기사님이 인터넷을 설치 해놓은 랜선 콘센트(주로 거실) 근처에 컴퓨터를 설치해야 된다는 거죠.
네? ‘나는 내방에 컴퓨터를
설치하고 싶다'구요?
걱정하지 마세요. 그렇다면, 다- 방법이 있어요.
여러분들 집에
이런 와이파이 공유기 있죠?
얘는 보통 스마트폰으로 와이파이 이용하려고 사용하는 물건이잖아요?
그런데, 사실 얘는 랜선을 꽂아서 컴퓨터 인터넷을 이용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애에요.
그럼 도대체,
와이파이 공유기로
어떻게 인터넷을 연결하는거냐?
와이파이 공유기에는
랜선을 꽂는 곳이 있거든요?
이렇게 랜선 꽂는 곳을 포트(Port)라고 부르는데, 사실 와이파이 공유기의 포트는 크게 WAN 포트와 LAN 포트로 나뉘어져요.
위의 사진의 포트를 보시면, 1개만 색깔이 다른게 있죠?
그게 WAN 포트에요.
일반적으로, 공유기에는 반드시 1개의 WAN 포트와 2~4개의 LAN 포트로 구성되어 있죠.
그런데요?
절대 WAN 포트는
건드리시면 안되요.
WAN 포트는 ‘인터넷 기사님이 모뎀과 공유기를 연결시킬 때 사용하는 포트’란 말이에요? 즉, 함부로 여러분들이 WAN 포트의 랜선을 빼서 다른곳에 끼웠다가는 인터넷이 멈춰버리게 된다는 거죠.
여러분의 컴퓨터로
인터넷을 하고 싶다면?
WAN 포트가 아닌 LAN 포트 중 한 곳에 랜선을 꼽아야 된단 말이죠? 그리고, 랜선의 반대편은 당연히 컴퓨터에 꼽아주셔야 하구요.
뭐- 컴퓨터에 랜선 꼽는 법은 너무 간단한거니까, 굳이 말 안해도 어련히 다들 아시겠죠?
그런데요?
이렇게 와이파이 공유기에 랜선을 꽂아서 인터넷을 이용할 경우, 문제가 있어요.
와이파이로 연결하기
물론, 거실에 놓인 와이파이 공유기에 랜선을 꽂아, 길~게 연결해서 여러분 방의 컴퓨터에 랜선을 연결할 수도 있어요.
다만, 이렇게 되면, 랜선 때문에 방문이 안닫히는건 둘째치고, 엄마가 랜선에 걸려 넘어지기라도 하면, 여러분의 등짝이 남아나질 않을거 아니에요?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주로
와이파이를 이용하게 되요.
네? 컴퓨터도 와이파이가 가능하냐구요?
아뇨, 불가능해요.
와이파이를 위해서는 무선랜이 필요한데, 기본적으로 무선랜이 탑재되어 있는 노트북과는 달리, 데스크탑 본체 컴퓨터의 경우에는 무선랜이 없는게 대부분이란 말이에요?
그러나, 데스크탑 컴퓨터로도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있죠.
바로, USB 무선랜을
이용하는거에요.
데스크탑 컴퓨터의 USB 슬롯에, USB 무선랜을 꽂을 경우?
이 USB 무선랜이 와이파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하면서, 데스크탑 컴퓨터로도 인터넷이 가능해지게 되는 원리라는 거죠.
그런데, 사실…
한 10년 전만 해도 USB 무선랜은 절대 추천할만한 물건이 못됐단 말이에요?
제조사 얘네들이 발열을 너무 못잡아서, 반 년만 지나면, 무조건 고장이 났기 때문에, 제가 주변 친구들한테 ‘그냥 노트북을 사라’고 조언을 하면 했지, ‘데스크톱 컴퓨터에 USB 무선랜 써라’는 조언은 해본 적이 없을 정도거든요?
다만, 요즘은 아이피타임 얘네들이 제대로 물이 올라서, 좋은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어요.
(얘들아, 라떼는
안테나 4개 꿈도 못꿨다?)
USB 무선랜 중에서도 가격이 좀 쎈편이긴 한데, 진짜 어쩔 수 없어요.
USB 무선랜은 발열을 잡는게 생명인데, 어지간한 싸구려 USB 무선랜은 금방 뻗어버려서, 제 경험 상 한번 살 때, 비싼거 사는게 장기적으로 더 이득이에요.
아무튼, 와이파이 공유기가 없는 방에서 인터넷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이러한 USB 무선랜을 이용해주시기 바랄께요?
근데요?
온라인게임을 하시는 경우에는, 또, 이 USB 무선랜은 불만족스러우실 수가 있어요.
온라인게임을 하는 경우?
왜, 온라인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USB 무선랜이 불만족스럽냐? 일부, 온라인게임의 경우에는, 지연시간(Ping)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죠..
혹시, 다음 온라인게임들의
공통점이 뭔지 아세요?
리그 오브 레전드
피파온라인
배틀그라운드
오버워치
위의 온라인게임들의 공통점은, 게임서버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아야하는 게임이라는 점이에요.
이는, 내가 남들보다 키를 0.1초 더 빠르게 누르는 것이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게임이라는 뜻이거든요? 즉, 지연시간(Ping)이 낮아야 정상적인 게임이 가능하다는 뜻인데…
문제는 USB 무선랜의 지연시간이 상당히 높은 편이라는 거에요.
이건 당연한거죠?
기본적으로 전파 간섭이 심한 USB 무선랜이,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랜선을 이길 수 있을리가 없잖아요?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온라인게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몇가지 다른 방법을 이용해 주셔야 되요.
방법 1. USB 무선랜을 쓰되, 게임할 때만 랜선을 연결한다.
솔직히 게임하는 시간이 그리 많지 않은 분들이라면 이 방법을 추천드려요. 어쨌든 USB 무선랜은 랜선을 이길 수 없으니까요.
평소에는
USB 무선랜을 쓰시되?
게임을 할 때만. 와이파이 공유기에 랜선을 연결하는거죠.
네? 게임을 자주해서
이 방법은 안되겠다구요?
그렇다면…
방법 2. 와이파이 공유기를 사서 브릿지모드를 활용한다.
방법은 내 방 와이파이 공유기를 하나 더 사서 브릿지 모드를 활용하는 거에요.
이게 무슨 소리냐?
잘 들으세요? 여러분들, 거실에 와이파이 공유기 있죠?
브릿지모드란, ①거실 와이파이 공유기가 쏜 와이파이를 ②내 방 와이파이 공유기한테 전송하는 방식을 말하거든요? 그리고, ②내 방 와이파이 공유기에 ③랜선을 꽂아 ④내 컴퓨터와 연결하는 거죠.
즉, 아까 말씀드린 방식은
①거실 와이파이 공유기 - USB 무선랜 - ④내 컴퓨터
라는 단계를 거치지만, 지금 브릿지모드를 활용하면,
①거실 와이파이 공유기 - ②내 방 와이파이 공유기 - ③랜선 - ④내 컴퓨터
라는 방식을 거치게 된다는 거죠.
네? 뭐하러 굳이 이렇게
번거롭게 연결 하냐구요?
이렇게 해야, 지연시간이 더 낮아지니까요.
기본적으로 USB 무선랜은 USB 포트를 통해서, 데이터가 전달되는데, 사실, USB 포트는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최적화 된 물건이 아니란 말이에요?
결국, 내 컴퓨터의 랜 포트에 랜선을 꽂아야, 그나마 낮은 지연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인데, 내 방이 와이파이 밖에 쓸 수 없는 환경이라면?
결국, 남은 방법은 내방 와이파이 공유기를 한대 더 사서 브릿지모드를 활용하는 수 밖에 없다는 거죠.
네? 그런데 브릿지 모드는
어떻게 하는거냐구요?
이에 대해서는 제가 직접 설명하기는 어렵고, 대신 브릿지모드에 대해서 쉽게 설명한 유튜브 영상을 소개해드릴테니, 해당 영상을 참고주시기 바랄께요?
아무쪼록
이러한 여러 방법중에서 나한테 맞는 방법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보시고? 가장 잘 맞는 방법을 활용해서, 컴퓨터에 인터넷을 연결해보시길 바랄께요-!
이상 인꿍이 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