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정보흠

인터넷 속도 70mbps면 느린건가? ... 해결방법이 있습니다.


목차



인터넷속도 70mbps가

디게 애매한 수치인게요?



이게 가만히 있자니, ‘인터넷 평균 속도에 비해서 꽤 낮은 수치’고, 그렇다고, 통신사한테 따지자니, ‘그럭저럭 따질 필요까지는 없는 수치’란 말이에요?



네? 그래서 70Mbps가

정확히 어느정도 속도냐구요?



네, 알겠어요.


그렇다면, 이번 페이지에서는 (1) 인터넷속도 70Mbps는 어느정도의 속도를 의미하며, (2) 이게 왜 애매한 수치인지, 또 (3) 속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까지 확실하게 알아보도록 할테니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Mbps의 뜻



일단, 여러분들이 확실히

알아두셔야 하는게요?



원래 인터넷 속도라는 건, 총 3가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에요.


  • 다운로드 속도

  • 업로드 속도

  • 지연시간


여기서 ,우리가 흔히 ‘인터넷 속도 Mbps’라고 부르는 것은, 위의 3가지 중에서 ✔다운로드 속도 만을 의미한단 말이에요?


아니, 그런데 ✔업로드 속도, ✔지연시간이 중요하지 않은게 절대 아니거든요?


실제로 지연시간 같은 경우에는 (1) 온라인게임 반응속도, (2) 웹페이지 넘기는 속도, (3) SNS 속도직.접.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인터넷 속도인 ✔다운로드 속도 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인 경제협력기구인 OECD에서 조차도, ✔지연시간이 아닌 ✔다운로드 속도를 국가별 인터넷속도 순위를 매길 때 사용하고 있죠.


때문에, 실제로 인터넷 속도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지연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왠지 모르게, 다들 ✔다운로드 속도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상한(?) 문화가 있죠.



네? 니 혼자

그렇게 생각하는거

아니냐구요?



후우... 알겠어요. 그럼 지금부터 ✔다운로드 속도는 어떨 때 중요한건지 보여드릴테니까, 여러분들이 집적 보고 판단해주세요?


다음의 표를 봐주시겠어요?





다운로드 속도는 주로 스트리밍 서비스(유튜브, 넷플릭스), 클라우드 서비스 (구글 드라이브), 웹하드 (파일조), 게임 다운로드 (스팀) 같은 서비스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거든요?


그런데, 위의 표에서, 우리가 가장 흔하게 이용하는 유튜브와 넷플릭스를 봐주세요.



데이터 사용량이 각각

5Mbps, 15Mbps죠?


이게 무슨 뜻이냐?



내 인터넷 속도가 70Mbps일 경우, 유튜브(5Mbps)를 틀어도?


아직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속도가 65Mbps나 된다는 뜻이에요. (70Mbps - 5Mbps = 65Mbps)


이는 또한, 14개의 영상을 동시에 시청해도, 유튜브가 갑자기 멈추거나 하는 일이 없다는 뜻이란 말이죠? (5Mbps X 14개 = 70Mbps) 즉, 우리집 인터넷 속도가 70Mbps라고 할지라도? 유튜브나, 넷플릭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거죠.



네? 그럼

인터넷속도가 70Mbps면

어떤 영향이 있냐구요?



70Mbps는 어느정도?


실제,인터넷속도가 70Mbps일 경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다음과 같아요.





  •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터넷 상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는 서비스 잖아요? 이 경우, 서버와 고용량 파일을 주고 받게 되는데, 인터넷속도 70Mbps의 경우, 이 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죠.


  • 웹하드 (파일조, 토렌트)

웹하드는 불법으로 동영상이나 게임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서비스죠? 이 경우에도, 서버와 고용량 파일을 주고받게 되는데, 인터넷속도 70Mbps의 경우, 더 높은 속도인 경우보다,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죠.


  • 게임 다운로드 서비스 (스팀, 배틀넷)

스팀이나 배틀넷 같은 게임 다운로드 서비스도, 당연히 서버와 고용량 파일을 주고 받겠죠? 이 때도 70Mbps의 인터넷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요,



네, 맞아요.

핵심은 고용량 파일이에요.



유튜브를 본다거나, 웹서핑을 하는 일상적인 인터넷 사용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고용량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때, 70Mbps 인터넷은 다른 인터넷에 비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거에요.


아니, 여러분들 고용량 파일을 그렇게 자주 다운로드 받으세요? 아니죠? 실질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대부분은 SNS, 유튜브, 넷플릭스, 웹서핑이잖아요?


이런 것들은 ✔다운로드 속도가 아니라, ✔지연시간이 더 중요하단 말이에요. 이런데도, ✔다운로드 속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가 이상한게 아니라구요?



네? 그래도 역시

✔다운로드 속도 느린건 싫다구요?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한번 따져야 겠다구요?



만약, 여러분들이 가입하신 인터넷이 ✔500메가 인터넷이나, ✔1기가 인터넷인 경우에는,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왜 속도가 70Mbps 밖에 안나오냐”고 당당하게 따지셔야 하거든요?



그런데…



만약, 여러분이 ✔100메가 인터넷인 경우에는 고객센터에 전화해서 따지셔도 고객센터에서는 ‘정상 입니다.’ 라고 답변할꺼에요.



왜냐?



인터넷 요금제에는 최저보장속도라는게 있기 때문이에요.


아래의 표를 봐주시겠어요?





통신사들은 일반적으로 인터넷을 ✔100메가 인터넷, ✔500메가 인터넷, ✔1기가 인터넷 같은 식으로 팔아먹고 있잖아요?



그런데요?



여기서 중요한건 ‘법적으로 100메가 인터넷이라고 해서, 인터넷 속도가 100메가일 필요는 없다’는 사실이에요.



네, 황당하시죠?

뒷통수 얼얼하시죠?

(여기 대한민국이에요.

이제 적응될 때도 됐잖아?



사실 통신사가 부르는✔100메가 인터넷이니, ✔500메가 인터넷이니 하는건, 통신사가 내세우는 속도일 뿐이란 말이죠?



✔100메가 인터넷의 속도가

70Mbps라고 할지라도?



방통위에서 규정한 최저보장속도 보다 낮지만 않다면? 법적으로 문제를 삼지 않겠다는게 정부의 입장이란 말이죠?


즉, 인터넷의 속도가 70Mbps인데,


  • 100메가 인터넷이라면? : 최저보장속도는 50Mbps 이므로, 정상

  • 500메가 인터넷이라면? : 최저보장속도는 250Mbps 이므로, 비정상

  • 1기가 인터넷이라면? : 최저보장속도는 500MBps 이므로, 비정상


즉, 500메가, 1기가 인터넷과는 달리, ✔100메가 인터넷의 경우, 70Mbps 속도는 정상 범주에 해당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거죠.



네? 그래도

70Mbps는 싫다구요?



알겠어요. 그렇다면, 인터넷속도가 70Mbps일 경우,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인터넷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려볼께요?



해결방안


일단, 해결방안을 알기 위해서는, 왜 인터넷속도가 70Mbps 밖에 나오지 않는지 그 원인을 확인해야 겠죠?



  • 트래픽 과부하인 경우

사실, 인터넷 케이블에는 한번에 전송할 수 있는 용량에 한계가 있거든요?



문제는…



각 건물 마다 1개의 인터넷 케이블만이 설치되고? 이 케이블 1개를 각 가정에 분배하는 방식이라는 점이에요. 즉, 1개의 케이블을 옆집 이웃과 공유한다는 뜻인데…



이게 무슨 뜻이에요?



‘옆집 이웃이 인터넷을 사용하면, 우리집 인터넷 속도가 떨어진다.’는 뜻이잖아요?


때문에, 옆집 이웃 중에서, 허구언날 웹하드나 토렌트 같은 고용량 파일 서비스를 쓰는 백수놈이 딱 3명만 있어도, 우리집 인터넷속도는 반타작이 나게 되는 거죠.



  • 운 나쁘게, 나랑 같은 통신사를 쓰는 이웃이 많은 경우

사실 웹하드나 토렌트 쓰는 백수놈이 이웃집에 살아두요? 만약, 나랑 같은 통신사가 아니라면, 사실 인터넷속도가 70Mbps 수준까지 떨어지는 일은 없단 말이에요?



왜냐?



같은 건물이라고 할지라도, ✔KT 이용자는 KT인터넷 케이블을, ✔SK 이용자는 SK인터넷 케이블을, ✔LG 이용자는 LG인터넷 케이블을 각각 이용하니까요.



그런데



만약, 하필 운 나쁘게 백수놈들이 나랑 죄다 같은 통신사를 이용한다면?


SK인터넷 쓰는 우리 옆집은 인터넷속도가 120Mbps로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KT인터넷 쓰는 우리집은 70Mbps 속도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는 거죠.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답이 없어요.


그냥 통신사 바꿔야 되요.



아니, 가끔 유튜브 댓글 같은데서 보면, 다들 ‘KT가 최고’라는 둥, ‘KT인터넷 가입 안하는 애들은 전원호구’라는 둥, 뚫린 입이라고 그냥 막 내뱉는 경우가 있거든요?


그런데, 위의 사례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인터넷속도라는 것은 통신사의 품질 뿐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도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에요.



제가 예전에 가산 디지털단지에

잠깐 입주 했던 적이 있거든요?



그 때 당시에, 제가 일부러 SK인터넷 쓰고 그랬단 말이에요.




아니, 제가

KT 품질 좋은거 몰라서,

KT 안쓴게 아니라니까요?



어차피, 가산 디지털단지 면, 인터넷에 대해서 빠삭한 사람들이 천지인데, 이 말은 즉, 너도나도 품질 좋은 KT인터넷 쓴다는 뜻이고, 이게 오히려 트래픽 과부하를 유발하기 쉽다는 뜻이란 말이죠?


덕분에, 저는 당시에 1년 반년 정도 입주하면서, ✔다운로드 속도, ✔업로드 속도, ✔지연시간 모든 부분에서 한번도 손해를 본적이 없었죠. (물론, 집에서는 귀신같이 KT 쓰는 얍삽함을 지닌 여자)



때문에, 지금

인터넷속도가 70Mbps이고

이 때문에 스트레스 라면?



그냥 통신사를 바꾸시는걸 추천 드리는데… 물론, 그냥 바꾸시면 위약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만약, 통신사를 바꾸시겠다면, 약정기간이 끝나지는 않았는지 사전에 체크해주셔야겠죠?



한편



통신사를 바꿔서 인터넷을 가입하면, 현금사은품을 지급하잖아요? 그런데, 사실 현금사은품이라는건, 인터넷 가입센터에 따라서 금액의 차이가 발생한단 말이에요?



때문에,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 가입센터에요.



왜냐? 같은 통신사라고 할지라도, 어떤 인터넷 가입센터에서 가입하느냐에 따라서, 현금사은품의 액수가 또 한번 차이가 나기 때문이죠.


즉, 제대로 된 인터넷 가입센터를 만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인데…



이 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지요.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전국에 있는 인터넷 가입센터의 DB를 취합하여,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센터거든요?


이쪽 업계의 특성 상, 매우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지급하는 업체가 변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의 경우, 언제나 업계 최고수준의 혜택을 지급하는 업체를 찾아준다는 장점이 있죠.





그러므로 만약, 인터넷속도가 불만이라서, 통신사를 변경하시려는 분들의 경우, 위와 같은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를 한번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물론



70Mbps라는 인터넷속도가 항상 나쁘다고는 할 수 없겠죠. 저 같은 경우만 해도, 요즘에는 게임을 안하다보니 (나는 1년 전만해도 스팀에서 골든벨을 울리곤 했다.) 70Mbps 라고 해도 큰 상관이 없거든요?


다만, 고용량 파일을 자주 다운로드 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번 기회에 인터넷 속도를 한번 점검해보시고, 속도 면에서 불편함 겪는일이 없으시길 바랄께요-!


이상 인꿍이 였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