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금 쓰는 인터넷의 약정이 끝났어도, 재약정을 하면, 혜택을 받아낼 수 있다는 사실 다들 알고 계시죠?
그런데요?
여기서 중요한건, 이러한 재약정 혜택이 고객 마다 다르게 적용된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서, 같은 요금제를 이용하는데도 불구하고? 누구는 상품권 5만원만 지급 되는 반면, 누구는 상품권 20만원이 지급 되는 말도 안되는 일이 실제로 공공연하게 벌어지고 있단 말이죠?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느냐?
해지방어의 유무 때문이에요. ‘고객이 해지방어를 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서? 이러한 재약정 혜택의 크기가 결정된단 말이죠?
그래서, 이번 페이지를 준비했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이러한 ✔️해지방어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아보고, ✔️해지방어를 하기 위한 조건, ✔️해지방어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볼테니,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해지방어란?
네? 근데
‘해지방어’가 정확히 뭐냐구요?
예를 들어서, 재약정은 통신사에 전화를 걸어서, 상담원한테, “나,지금 인터넷 약정 끝났는데, 재약정 할테니까 재약정 혜택을 달라”고 요청 하는 식으로 진행 되는거잖아요?
그런데, 해지방어는요?
그냥 밑도끝도 없이, 상담원한테 “당장- 인터넷 해지 해주세요.”라고 요청하는걸 말해요.
네? 재약정 한다면서
왜 해지를 하냐구요?
사실, 이건 일종의 인질극이거든요.
생각해보세요?
회사에서, “사장님- 월급 좀 올려주세요…” 라고 말하는 놈이랑, “싸장님! 저 내일부터 때려치겠습니다!” 라고 말하는 놈이랑 둘 중에 누가 더 월급을 올려 받을 확률이 높겠어요?
당연히, 때려치겠다는 놈이
월급을 받아도 더 받겠죠?
즉, 해지방어란, ‘해지할 의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 재약정 혜택을 더 많이 받아내기 위해서, 해지 신청을 하는 것’을 말해요.
네? 혜택으로 뭘 주길래
해지방어 같은 번거로운 일을
하는거냐구요?
해지방어로 받을 수 있는 혜택의 종류는 다음과 같아요,
✔상품권 (이마트/홈플러스)
✔요금할인
✔𝒳개월 인터넷무료
✔상품 업그레이드 (100메가→500메가)
✔셋톱박스 교체 및 할인
✔공유기 교체 및 할인
통신사들은 고객의 (1) 요금제, (2) 가족결합, (3) 이용기간 등을 면밀하게 분석해서, 위의 혜택 중에 몇개를 골라서, 해지방어 혜택을 제공한단 말이죠?
반면, 재약정 혜택은 단순히 상품권인 경우가 대부분일 뿐만 아니라, 그 금액도 상당히 적기 때문에, 무조건 해지방어가 유리할 수 밖에 없다는거죠.
아니, 이 정도면 해지방어
안하는게 바보 아니에요?
그냥 재약정 할 때, 눈 딱 감고 인질극 전화 한번 하면 되는데 뭐하러, 재약정 신청을 해요, 안그래요?
그런데요?
문제는 이러한 해지방어에도 조건이 있다는 사실이에요.
해지방어 조건
아무래도 해지방어는 재약정 신청 보다 까다로운 만큼 몇가지 조건을 만족해야만 성공할 수 있거든요?
1 . 무약정 기간에 신청할 것
왜, 해지 예약이라고 해서, 아직 약정 기간인 중에도 “인터넷 해지 하겠다”고, 예약하는게 가능하잖아요?
그런데, 아직 약정이 남아있다면, 해지신청을 해도 통신사들이 제대로 된 해지방어 혜택을 주지 않아요.
왜냐?
원칙적으로, 해지방어는 ‘지금 당장 해지가 가능한 고객’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딜이기 때문이죠. 때문에,
당장 해지방어 하고 싶은 마음은 알겠지만, 제대로 해지방어 혜택을 받아내고 싶다면, 약정이 완전히 끝날 때 까지 기다려 주시기 바랄께요?
2 . 인터넷TV 결합 고객일 것
이거 의외로 모르시는 분들 많은데, 원래 해지방어는 인터넷TV 결합 고객, 그러니까, IPTV 까지 함께 이용하는 고객이어야만 먹히는 딜이란 말이에요?
애초에 인터넷’만’ 가입하는 고객의 경우에는, 통신사 입장에서 마진이 크지 않거든요.
그러므로, 만약 인터넷’만’ 가입하는 경우에는 괜히 번거롭게 해지방어 시도 하지 마시고? 그냥 정직하게, 통신사 본사에 전화를 걸어, “재약정을 하고 싶은데, 혜택이 어떻게 되냐”는 식으로 문의해주시기 바랄께요?
한편,
인터넷’만’ 가입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통신사로 신규가입 하는게
더 이득이에요.
애초에, 재약정 혜택은 마트 상품권으로 지급되는 반면, 다른 통신사로 신규가입은 현금으로 지급된단 말이죠? 게다가, 금액 면에서도 신규가입이 압도적으로 더 많거든요?
다만, 현금을 많이 받아내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인터넷 가입센터에서 가입해야 할 필요가 있어요.
이 때, 도움이 되는 것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에요.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전국의 인터넷 가입센터의 DB를 취합하여,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센터거든요?
현금사은품에는 시세변동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를 이용할 경우, 시세변동에 상관없이 언제나 업계 최고 수준의 현금사은품을 받아내는게 가능하죠.
그러므로 만약, 해지방어 대신 이러한 신규가입 혜택을 노리신다면, 위의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를 통해서도 한번 문의해 보시길 바랄께요?
3, 한번도 해지방어를 한 적이 없을 것
아니, 한번 생각해보세요?
“싸장님! 저 내일부터 때려치겠습니다!”라고 말만하면, 사장님이 월급 맨날 올려줘요? 아니잖아요?
정신머리 제대로 박힌 사장님이라면, “이 놈, 월급 올려달라고 또 시작이네”라고 반발한단 말이죠? 마찬가지로, ‘해지방어에는 횟수 제한이 존재한다.’는 거에요.
해지방어를
1회~2회 정도 진행하게 되면?
이후로는, 해지방어 혜택을 전혀 주지 않거나, 주더라도 재약정 혜택과 거의 동일한 수준의 혜택을 주기 때문에?
사실 상, ‘1~2회 이후에는 해지방어를 안하는게 더 낫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니 참고해주세요?
해지방어 방법
네, 해지방어가 뭔지, 이제는 대충 감이 잡혀요. 그런데요?
‘그래서,
해지방어 어떻게 하는거냐’
‘뭘 어떻게 시작해야 되는거냐’
이런 생각이 들잖아요? 걱정마세요. 지금부터 제가 해지방어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하나하나 알려드릴께요?
일단, 해지방어를 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사 본사에 전화를 해주셔야 하거든요?
KT : (국번없이) 100
SKB : (국번없이) 106
U+ : (국번없이) 101
상담원한테 “인터넷을 해지하고 싶다.”고 말하면, 상담원은 당장 해지를 해주는게 아니라, ‘해지 신청 접수해드리겠다.’는 식으로만 말하고 전화를 끊게 될거에요.
그리고, 1시간 뒤에
해지담당팀으로부터
연락이 오게 되는데…
이 때, 해지담당팀의 상담원은 해지 처리를 도와주기 전에, ‘어떤’ 조건을 제시하게 되죠.
가령, 뭐- 1년 약정 기준으로 ‘이마트 상품권 8만원’ 따위를 드린다면서, ‘해지하지 말고, 재약정 하시라’고 말한단 말이죠?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게…
이 때는 절대 ‘알겠다’고
수락을 하시면 안된다는 거에요.
왜냐?
이건, 진짜 해지방어가 아니거든요.
일반적으로, 해지방어는…
해지담당팀 (1차콜)
↓
해지방어팀 (2차콜)
↓
해지방어팀 (3차콜)
뭐- 대충 이런식으로 구성이 되어 있거든요?
(아 근데, 이거 2010년대 모 통신사 기준이에요.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는데, 아마 플로우 자체는 비슷할꺼에요.)
즉, 해지담당팀이
제시하는 조건을 거부하면?
이후에 ‘진짜’ 해지방어팀으로부터 연락이 오는 구조라는 거에요, 당연히? 콜 수(전화걸려오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혜택도 더 늘어나게 되는 거구요.
그러므로, 해지방어의 경우, 해지담당팀(1차콜)이 주는 혜택 덥썩 받아내지 마시고? 해지방어팀(2,3차콜)으로부터 연락이 올 때 까지 버티시는게 핵심이라는고 할 수 있겠죠?
문제는, 나한테 오는 전화가
2차콜까지냐, 3차콜까지냐
인데…
이거 정답 없어요.
✔통신사의 정책에 따라서, ✔시기에 따라서, ✔상품의 총금액, ✔가족결합 유무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서, 2차콜, 3차콜이 결정나기 때문에 이 부분은 눈치를 좀 보셔야 되요.
다만, 최근에는 해지방어가 꽤 유명해지다보니, 마지막 콜에서는 ‘고객님, 이번 제안이 마지막 입니다…’ 라는 식으로 상담원이 귀뜸해주는 경우도 늘었으니, 눈치껏 대응하셔야 겠죠?
어쨌든
해지방어 과정에서 상담원은 전에 없던 상당한 수준의 혜택을 제시할 것이고? 이 제시한 혜택을 수락하면, 결론적으로 해지방어에 성공한 셈이 되는 것이죠.
아무쪼록,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해지방어 혜택을 꼭 받아내시길 바랄께요?
잘못된 해지방어 속설들
마지막으로, 딱히 다룰 내용도 더 없으니까, 그냥 인터넷에 퍼져있는 해지방어에 관한 잘못된 속설들이나 짚고 넘어갈께요.
심심해서 쓰는거니까
귀찮으면 안읽으셔도 되요.
아, 아니다. 읽다보면 나름 쓰잘떼기 있는 정보니까, 그냥 끝까지 읽어주세요.
상담원한테 밉보이면, 혜택이 깎인다?
절대 아니에요. 아니, 상식적으로 상담원은 시급 받고 일하는 계약직인데, 얘네들이 무슨 권한이 있다고, 우리한테 더 퍼주고 말고 하겠어요?
그냥- 본사로 부터, 1주일 단위로 정책 나오면, 그 정책에 맞춰서 ‘기계적으로’ 고객한테 설명 하고, ‘기계적으로’ 2차 콜, 3차콜 거는 애들이기 때문에, 괜히 비위 맞춰주려고 힘쓰실 필요 없어요.
요금할인보다 상품권이 더 낫다.
그렇지 않아요. 요금할인 금액과 상품권 액수를 비교해보면, 2~3만원 정도 요금할인 폭이 더 크구요?
무엇보다도, 상품권은 1회성 혜택이지만, 요금할인은 재약정이 끝나더라도 계속해서 혜택이 유지 되요.
한번 받으면 땡인 상품권
VS
평생 지속되는 요금할인
요금할인 혜택이 제시하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문제지,, 만약 요금할인을 제시한다면, 무조건 요금할인을 선택해주세요?
해지방어는 실패하면, 무조건 통신사를 옮겨야 된다?
괜히, 혜택 더 받으려고 해지방어 했다가, 해지방어 혜택 안주면? 옮기고 싶지도 않았던 통신사를 강제로 옮겨야 되니까 낭패잖아요?
그런데,
강제로 안옮기셔도 되요.
만약 해지 신청을 했는데, 2차콜, 3차콜이 안온다? 그럼, 그냥 “해지 취소하겠다.”고 연락하시면 되요.
단, 24시간을 넘어버리면, 해지완료가 되어버리게 되고, 이후에는 해지취소가 불가능(중요★★★★★)하기 때문에?
대충, 3시간 정도 해지방어팀으로 부터 전화 오는것을 기다려보시다가, 연락이 안오면 부리나케 전화해서 해지 취소를 해주시기 바랄께요?
와- 오늘 진짜 디게 길게 썼다…
아무쪼록, 인터넷 상에 없는 꿀팁이란 꿀팁은 다 풀었으니까, 이 정도면 다들 만족해주시겠죠?
이상 인꿍이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