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당연한 이야기지만
보관이사는 일반이사에 비해서 비용이 많이 발생한단 말이에요? (이유는 나중에 알려드림) 보관이사 비용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서는 ‘보관이사 업계의 구조’에 대해서 이해를 하실 필요가 있어요.
잘 들으세요?
사실, 이사 업체와 보관이사 업체는 완전히 별개의 업체에요.
이사 업체한테 “보관이사 하고 싶어요”라고 말하면? 이사 업체의 상담원은 가격을 알려주는데, 사실 얘네들이 불러주는 가격은 보관이사 업체한테 받은 가격표를 그대로 불러주는 것 뿐이란 말이죠?
사회생활 빠삭하신 분들은
감이 오실거에요.
맞아요, 대부분의 이사 업체는 보관이사 업체에 수수료를 받죠.
이건, 당연한거죠.
보관이사 업체 입장에서는 고객을 끌어모으고 싶을텐데, 그러려면 이사 업체한테 수수료를 지불해야 자기네 보관이사 업체랑 연결해줄거 아니에요, 안그래요?
이 말은 즉,
될 수 있는한 중간수수료를 적게 받는 이사업체를 골라야 한다는 뜻이죠.
그래서 이번
페이지를 준비했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1) 보관이사 비용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고, (2) 최대한 저렴하게 이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테니,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첫째, 보관비용
이 공식부터 외워두세요.
이삿짐의 양 X 보관일수 =
보관이사 비용
즉, (1) 이삿짐의 양이 많을수록, (2) 보관일수가 길수록, 보관비용이 증가한다는 뜻인데...
참고로
여기서 이삿짐의 양은 트럭의 크기로 결정되요. ('트럭이 크다 = 이삿짐이 많다'이기 때문)
네? 이삿짐의 양에 따라서
보관비용은 얼마나 하냐구요?
트럭 크기 | 하루 치 보관비용 |
1톤 트럭 | 1만원 |
2.5톤 트럭 | 1만원 |
5톤 트럭 | 1만원 |
7.5톤 트럭 | 2만원 |
10톤 트럭 | 2만원 |
예를 들어서
나는 2.5톤 트럭 수준의 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20일 동안 보관해야 한다면?
1만원(2.5톤 트럭) X 20일
=총 보관비용 20만원
과 같은 식으로 가격이 결정된다는 거에요.
참고로
1톤 트럭 수준 이삿짐은, 경우에 따라서는 1만원 보다 더 적은 업체가 존재하긴 하는데, 이는 보관이사 업체의 물류창고 규모에 따라서 조금 다른 경향이 있어요.
다만, 일반 이사고객이
이를 고르는건 어렵기 때문에?
유일한 해결책은 될수 있는대로 견적을 많이 받아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그런데요?
사실 당연하게도 비용은 여기서 끝이 아니에요.
지금까지 제가 말씀드린 비용은 어디까지나 짐을 잠시 맡겨주는 '보관 비용'일 뿐이고, 트럭으로 운반하는 실제 이사비용은 전혀 포함되지 않은 상태란 말이죠?
둘째, 이사비용
즉, 이사비용이 별도로 발생한다는 뜻인데…
문제는…
보관이사의 경우, 일반이사보다 훨씬 이사비용이 비싸다는 점이에요.
한번 생각해보세요?
이사 업체는 ‘나의 기존 집에서 보관이사 업체의 창고’에 이사를 한번 완료해준다음, 다시- ‘보관이사 업체의 창고에서 나의 새 집'으로 또 한번 이사를 해주는 상황이잖아요?
즉, 보관이사는 반드시 이사를 2번 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이사 보다 이사비용이 2배가 될 수 밖에 없다는 거에요.
네? 그럼 이사비용은
얼마냐구요?
그냥 대략적으로만 알려드릴께요?
트럭 크기 | 이사 비용 |
1톤 트럭 | 50만원 |
2.5톤 트럭 | 120만원 |
5톤 트럭 | 160만원 |
이사비용은 트럭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각 트럭에 따른 이사비용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아요.
다만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보관이사는 어쩔 수 없이 이사비용이 2배가 되잖아요?
그러므로,
보관이사의 총 비용을
공식으로 만들어보면…
첫번째 이사비용 (기존 집→보관창고) + 보관비용 + 두번째 이사비용 (보관창고→새집) = 보관이사 비용
이 된다고 할 수 있겠죠?
아무쪼록
'보관이사는 대략적으로 어느정도의 비용이 드는지'에 대해서 참고가 되셨길 바랄께요?
보관이사 주의사항
아, 보관이사 하시는데 참고로 알아두시면 좋은 내용이 있어요.
보관이사에는
실내보관과 실외보관이
있거든요?

당연히 실내보관이 더 비싼건 대충 느낌으로 오시죠?
그런데, 어지간하면
실내보관을 추천드려요.
물론, 실외보관의 경우에도 컨테이너 박스에 짐이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비온다고 해서 짐 다 젖고 이러는건 아니거든요?
다만, 실외보관의 경우- 온도나 습도 관리같은 것들이 전혀 안되다보니, 짐들이 상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아요. 저희는 가정집 물품을 이사하는 거잖아요?
특히나
전자제품 같은 경우에는 습도에 취약하기 때문에, 돈 좀 더 쓰더라도- 가정집 이사하실 때는 실내보관을 해주셔야 되요.
그러므로, 이사업체 상담원한테 “온도와 습도를 관리해주는 실내보관 업체로 부탁한다.”고 말씀해주시기 바랄께요?
이사업체들은 보통 여러 보관이사 업체와 계약을 맺기 때문에, 상대방이 까다로운 소비자라는걸 알면, 알아서 ‘조금 비싸더라도 괜찮은 실내보관 업체’를 선택해준단 말이죠?
참고로

만약, 이사업체를 정하지 않으셨다면 ‘모두이사’를 추천드려요.
모두이사는 이사업체가 아니라, 엄밀하게 말하면 뛰어난 이사팀의 DB를 확보한 이사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거든요?
베테랑 이사팀을 만나는게 정말 중요한데, 모두이사의 경우에는 베테랑 이사팀의 DB 확보에 정말 사활을 거는 플랫폼인 만큼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유명하죠.
만약 3군데 정도
견적을 보신다면?
제가 꼼꼼하게 알아보고 제휴한 업체인 만큼, 견적 업체 중 하나로 한번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아무쪼록
이러한 정보 사전에 체크하셔서 조금이라도 저렴한 이사하는데 도움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