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5년] OLED 모니터 장단점 & 번인 근황 (+디시 의견 정리)

  • Writer: 정보흠
    정보흠
  • Oct 10
  • 5 min read
ree

목차


OLED 모니터LCD 모니터에 비해서, 훨씬 뛰어난 성능을 지니고 있어요.


패널 종류

색재현율

시야각

명암비

응답속도

OLED 패널

매우 훌륭함

매우 훌륭함

매우 훌륭함

매우 훌륭함

VA 패널 (LCD)

훌륭함

비교적 부족함

훌륭함

비교적 부족함

IPS 패널 (LCD)

훌륭함

훌륭함

비교적 부족함

훌륭함


이는 액정을 이용하는 기존 LCD 모니터와는 다르게, OLED 모니터유기화합물(organic compound)을 이용하기 때문이거든요?



다만



다들 아시다피시, OLED 모니터번인(Burn-In)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단 말이죠?


걱정마세요. 저희 BH픽셀이 도와드릴께요.



바쁘신 분들은



아래의 항목을 선택하셔서, 빠르게 제품 추천을 받으셔도 좋습니다. 😎





다만, ✔️왜 해당제품을 추천하는지, ✔️번인이란 무엇인지, ✔️OLED 모니터의 수명을 최대한 늘리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좀 더 저희와 함께해주세요.



단순히 

저희 의견 뿐만 아니라,



✔️디시인사이드✔️퀘이사존 같은 커뮤니티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알려드릴테니, 신뢰성 측면은 걱정하지 마시기 바랄께요?



OLED 모니터의 장점


다들 아시다시피, OLED 모니터는 기존의 LCD 모니터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작동해요.


LCD 모니터의 경우,



ree

 


모니터 안에 백라이트(Backlight)라는 조명이 존재해서, 이 백라이트(Backlight) 빛으로 화면을 만들어 내는 방식이거든요?



반면,

OLED 모니터의 경우



이러한 조명 자체가 전혀 없고, 유기화합물이라는 특수한 물질이 스스로 빛을 내는 방식이에요.


'유기화합물이 직접 빛을 낸다'는 특성은 OLED 모니터LCD 모니터보다 스펙 측면에서 훨씬 압도하는 결과를 만들어내지요.



  • 명암비

LCD 모니터 백라이트(Backlight)로부터 빛이 항상 세어나와서, 완벽한 검은색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

(로컬디밍 같은 꼼수를 사용하여 명암비를 높이려는 시도는 있으나, 달무리 현상등이 있어서 완벽한 해결책은 아님.)


OLED 모니터백라이트(Backlight)자체가 없으므로, 완벽한 검은색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



  • 시야각

LCD 모니터는 액정이 정면에서만 정확한 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제작되므로, 모니터를 측면에서 바라보면 색이 달라지는 시야각 문제가 존재.


OLED 모니터는 액정이 아니라, 유기화합물이 직접 빛을 내는 원리(자발광)이므로, 시야각 문제가 없음.



  • 응답속도

LCD 모니터는 화면이 바뀔 때마다 액정이 회전을 해야하므로, 화면이 빠르게 전환할 때 잔상이 존재.


OLED 모니터는 액정이 회전하는 원리가 아니므로, 잔상이 존재할 수 없음.

(단, 우리 눈에 의한 잔상은 존재함)



전부가 모니터 성능에

핵심이 되는 요소 이므로?



'OLED 모니터는 차세대 모니터'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죠.



다만



'OLED 모니터는 차세대 모니터'라는 이야기가 처음 나온 것이 20년 전(...)이고, 아직도 대부분은 LCD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거든요?


OLED 모니터LCD 모니터에 밀리는 첫번째 이유는 비싼 가격이고, 두번째 이유는 번인이에요.




OLED 모니터의 단점, 번인


OLED 모니터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물질유기화합물이 들어간다고 했잖아요?



문제는



유기화합물은 열에 약하다는 사실이에요.


OLED 모니터가 빛을 내려면 유기화합물 전압을 지속적으로 걸어줘야 하는데, 전압을 걸어주면 열이 발생해서 유기화합물이 증발(=효율감소) 해버린단 말이죠?



(동일한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열어놓자 번인이 발생한 사례 )
(동일한 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열어놓자 번인이 발생한 사례 )


즉, 우리가 보는 번인 현상이라는 것은 OLED 모니터의 유기화합물이 과도한 열에 의해 타버려서 사망한 시체자국이라고도 비유 할 수 있다는 것이죠. 



특히나



문제가 되는게 파랑색 빛을 내는 물질이에요.



ree


파랑색은 짧은 파장을 지닌 색상이잖아요? 파장이 짧으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말은 즉, 유기물의 수명을 빠르게 갉아 먹는다는 뜻이란 말이죠?



(청색 소자의 수명이 OLED에 중요하다는 퀘이사존 유저의견)
(청색 소자의 수명이 OLED에 중요하다는 퀘이사존 유저의견)


때문에, OLED 모니터 개발진들은 청색 소자(파란색 빛을 내는 물질)의 수명을 늘리는데,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어요. 



네? 그래서 최근에는 

번인에 좀 강해졌냐구요?



네, 결론부터 말하면 상당히 강해졌어요.


그리고, 2024년을 기준으로 LG 디스플레이(WOLED 4세대), 삼성 디스플레이(QD-OLED 2세대)의 번인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오르기 시작했죠.

(특히나 2025년도 이후로도 번인 내구성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출시일이 조금이라도 늦은 제품을 구매하는게 팁입니다. 😏)

OLED 모니터가 얼마나 번인에 강한지’를 알려주는 지표가 되는 것이 최대 휘도(최대 밝기)거든요?

(LG의 WOLED 패널 기준)



(모니터의 최대 휘도는 칸델라(cd) 또는 니트(nit)로 표현한다.)
(모니터의 최대 휘도는 칸델라(cd) 또는 니트(nit)로 표현한다.)


모니터가 밝을수록, 화면의 온도는 더 높아지잖아요? 


즉, ‘OLED 모니터의 최대 휘도가 높게 출시됐다.’는 뜻은, (1) 높은 열에도 청색 소자가 죽지 않는 OLED 모니터를 만들었다는 뜻이고, (2) 번인 내구성이 뛰어난 OLED 모니터이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요.



(최대 밝기가 중요한 이유는 OLED 수명 개선 때문이라는 유튜브 의견)
(최대 밝기가 중요한 이유는 OLED 수명 개선 때문이라는 유튜브 의견)


LG 디스플레이의 WOLED 패널을 기준으로 최대 휘도를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아요.


OLED 세대

최대 휘도

개발년도

1세대

400니트

2013년

2세대

1300 니트

2021년

3세대

2100 니트

2023년

4세대

4000 니트

2024년


보시다시피, 2021년 부터 OLED 패널의 최대 휘도가 급격하게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기어코 2024년에는 4000니트를 달성하였죠.



이 말은 즉,


 

최신 OLED 패널이라면, 과거에 비해서 훨씬 번인에 대한 걱정을 내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번인이 걱정되시는 분들을 위해, 지금부터 OLED 번인 예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께요.



OLED 모니터 수명 늘리는법


  • 나의 컴퓨터 사용패턴을 체크한다.

나의 ‘연속적인 컴퓨터 사용시간'이 얼마 정도인지를 체크하는게 매우 중요해요. 


번인이 발생하는 이유는 똑같은 화면을 지속적으로 틀어놓는 습관 때문이거든요?


똑같은 화면을 하루 7~8시간씩 틀어놓으면- 해당 부분의 청색 소자가 열화되어 번인 자국이 남게되는 원리인데,



ree


인터넷 상에 소개된 번인 사례에, 유독 '바탕화면 자국'이나 '게임화면 자국' 많은 것도, 다- 이런 이유 때문이죠.



  • 방이 밝은지 확인한다.

내 방이 밝은 경우에도, 번인 현상이 빨리 찾아올 수 있어요.



왜냐?



방이 밝으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강제로 모니터의 밝기를 높이기 때문이에요. (밝기가 높다→ 열화가 심해진다 → 번인 현상)



만약, 

방이 밝은 편이라면…



밝기를 낮추기 위해서 (1) 암막커튼을 설치하시던가, 방 안의 불을 끄고 (2) 간접조명을 켜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어요.



ree


이러한 간접조명을 사용해주는 것 만으로도 모니터의 밝기를 상당 수준 낮추는 것이 가능하죠.



  • 작업표시줄을 숨긴다.

한편 고정된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해서



ree


이러한 작업 표시줄이 안보이도록 설정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에요.



(작업표시줄 번인이 생겼다는 디시 유저의견)
(작업표시줄 번인이 생겼다는 디시 유저의견)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화면 상에 고정된 이미지는 번인의 원인이란 말이죠? 그러므로, 가급적이면 이러한 작업 표시줄도 숨김으로 표시해주시기 바랄께요?



WOLED 패널(LG 디스플레이)의 경우, 최대 휘도 1300cd 이상 모니터를 구매하시고, QD-OLED 패널(삼성 디스플레이)의 경우, QD-OLED 2세대 제품인지 확인해주세요.


또한, OLED 번인 예방법을 지켜 주신다면, 6~7년 정도는 번인 걱정 없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제품을 추천하냐구요?



추천 제품



OLED 모니터를 구매하실 때는 반드시 최대 휘도가 가장 높은 제품을 구매하셔야 되요. 현시점에서 가장 높은 모니터의 최대 휘도는 1300cd이며, 이에 해당하는 제품은 다음과 같죠.



모델명

사이즈

최대 휘도

브랜드

32GS95UV

32인치

1300cd

LG전자

27GX790A

27인치

1300cd

LG전자

45GS96QB

45인치

1300cd

LG전자




LG전자에서 출시한 32인치 모니터에요.



UHD 해상도

240hz 주사율



을 가지고 있는 상당히 고스펙의 프리미엄 모니터라고 할 수 있구요?


FHD 해상도로 변경할 경우, 최대 480hz 주사율로 변화하는 기능이 탑재 되어 있어서, 고주사율 모니터를 원하시는 분들에게 적합한 선택이에요.


특히나, OLED 모니터의 응답속도는 0.03ms 수준으로, 잔상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단 말이에요? 



때문에



반응속도가 상당히 중요한 게임을 하실 때, 큰 이득을 얻으실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LG전자에서 출시한 27인치 모니터에요.



QHD 해상도

480hz 주사율



마찬가지로, 게이밍에 특화된 프리미엄 모니터라고 할 수 있구요? 27인치 라인에서는 QHD 해상도도 충분하기 때문에, 나름 LG전자 측에서 스펙을 결정할 때 고심한 흔적이 엿보이는 모니터라고 할 수 있죠.



개인적으로



FPS 게이머라면 27인치의 27GX790A 모델을 좀 더 추천드리고, 콘솔 게이머라면 32GS95UV 모델을 선택해주시는게 좀 더 나은 선택이라고 보여지거든요?


이 부분은, 개인의 취향에 맞춰서 선택해주시기 바랄께요?




LG전자에서 출시한 45인치 모니터에요.



참고로



이 제품 일반적인 모니터가 아니라, 21 : 9 비율의 가로가 긴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거든요?



관련글



울트라와이드 모니터가 매력적인 제품이긴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점이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단 말이에요? 그러므로, 구매하시기 전에 위의 글을 꼭 한번 읽어 보시는걸 추천드려요.



명심하세요?



1300cd 보다 낮은 최대 휘도를 갖고 있는 OLED 모니터는 신경도 쓰지 마세요. 

(단, QD-OLED의 경우에는 최대 휘도는 별로 상관없음)



네? 어떤 모니터를 고를지

아직 결정하지 못하셨다구요?



그러시다면, 이번 기회에 모니터에 대해서 확실하게 입문해보지 않으실래요?


관련글


만약 모니터에 대해 좀 더 제대로 입문해보고 싶으시다면, 위의 글을 한번 읽어주시겠어요? 꽤 장문의 글이긴 한데… 딱! 한번만 읽어두시면 두고두고 도움이 되실테니까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OLED 모니터에 대해서 조금 더 이해하는 계기가 되셨길 바랄께요!


이상 BH픽셀이었어요!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