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보통 ‘통신사를 비교한다.’고 하면, “대칭형 인터넷이 어쩌니, 저쩌니” 하면서, 대부분 인터넷의 품질로 통신사를 고르곤 하잖아요?
그런데, 어떤 분들은 인터넷이 아니라, IPTV를 기준으로 통신사를 고르는 경우가 있어요.
네, 그게 사실 저에요.
옛날에 학교 다녀오면, 가방 집어 던지고 투니버스부터 틀던 애가 저란 말이에요? 저같은 애한테 ‘인터넷 품질만으로 통신사를 골라라’고 하는 것 부터가 말이 안되는 거에요.
네, 여기 저 말고도
저같은 분들 여기많으시죠?
그래서 이번 페이지를 준비 했어요.
이번 페이지에서는 통신 3사의 IPTV를 완벽하게 비교해 드릴테니까,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IPTV 가격비교
통신사들의 IPTV 상품 요금제를 보면, ‘프라임이니, 캐치온이니’ 별별 이상한 이름의 상품들이 엄청나게 많잖아요?
그런데, 그거 그냥
끼워팔기 상품이에요.

예를 들어서, SK의 B tv ALL + 캐치온이라는 상품은, 그냥 B tv ALL 상품에다가, 캐치온이라는 별도의 상품을 붙여파는 것 뿐이란 말이죠?
그러므로,
이런 끼워팔기 상품을
제외하면?
딱, 다음과 같은 요금제만 남게 되요.

이렇게, 통신사 별로, 딱 2~3개의 IPTV 상품 중에서만 골라도 충분하다는 거죠.
네? 그럼, 각 통신사 별로
어떤 상품을 가입하는게
제일 이득이냐구요?
무조건 제일 저렴한 상품을 가입하는게 이득이에요.
왜냐?
어차피, 저렴한 상품이든, 비싼 상품이든 채널의 갯수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거든요.
IPTV 채널비교
아래의 표를 봐주시겠어요?

물론, 가격이 비싸지면 채널의 갯수도 더 늘어나긴 하지만, 각 통신사 별로 가장 저렴한 TV상품이라고 할지라도, 200개 이상의 채널은 지원하잖아요?
3~4천원 주고
더 비싼 상품을 가입해봤자?
추가되는 채널은 고작해야 20~30개 정도란 말이죠?
심지어,
더 비싼 요금제에 가입해서
추가되는 상품이라고 해봤자
(1) BBC, CNN 등의 외국방송, (2) 일부 스포츠채널, (3) 다큐멘터리 전문채널, (4) 드라마 다시보기 채널 정도이기 때문에? 굳이 이런 채널을 보고 싶은게 아니고서야, 비싼 TV상품을 가입할 이유도 없다는 거에요.
그러므로
만약, 비싼 TV상품에는 어떤 채널이 추가되는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참고자료를 체크해주시고?
(참고자료1 - KT : https://tv.kt.com/ )
(참고자료3 - U+ : https://www.lguplus.com/iptv/channel-guide )
원하는 채널이 없다면, 그냥 각 통신사별로 가장 저렴한 상품을 가입해주시는게 좋겠죠?
IPTV 결합비교
IPTV 라는 상품은
인터넷으로 TV를 보는
방식이잖아요?
즉, IPTV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IPTV를 인터넷과 함께 설치를 해줘야 된단 말이에요?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게 하나 있어요.
인터넷과 IPTV를 함께 가입할 경우, 결합할인이 되서 통신비가 저렴해진다는 사실이에요.
즉, 인터넷 월 비용 + IPTV 월 비용에다가, 결합할인 금액을 빼줘야? 매월 내는 진짜 금액이 나온다는 거죠. ( 인터넷 월비용 + IPTV 월비용 - 결합할인 금액 = 진짜 금액 )
네? 그럼 도대체
얼마를 빼주냐구요?
다음의 표를 참고해주세요.

통신사들은 언제나 기가인터넷을 팔아먹고 싶어하기 때문에, 기가급 인터넷 상품일 경우, 할인을 더 많이 해주는 결합 정책을 취하고 있어요.
SK : 100메가 인터넷은 -3,300원, 기가급 인터넷에는 -8,800원의 할인을 해주고 있습니다.
KT, LG : 기가급 인터넷에 -5,500원의 할인을 해주고 있습니다.
역시나, 결합할인의 귀공자라 불리는 SK가 인터넷TV 결합도 무지막지하게 퍼주는걸 알 수 있죠?
특히나, 100메가 인터넷의 경우에도, 무려 3,300원을 할인해주는데?
이는 3년 약정을 기준으로
타사 보다, 약 118,800원
더 퍼주는 셈이죠.
(3,300원 X 36개월 = 118,800원)
네? 그럼, 인터넷 + TV를 함께 가입할 경우에는 SK가 제일 저렴한거냐구요?
그건, 아니에요.
왜냐?
어떤 통신사가 제일 저렴한지 제대로 체크하려면, 현금사은품 까지 체크를 해주셔야 되거든요.
IPTV 현금사은품 비교
왜, 통신사의 인터넷을 가입하면, 현금사은품이라는걸 주잖아요?
사실 이건 그냥 주는게 아니라, 3년 약정으로 계약하는 댓가로 3년 동안 할인해 줄 금액을 미리 지급 하는 일종의 선(先)지급 페이백이란 말이에요?
예를 들어서, 통신사한테 현금사은품으로 30만원을 받았다면?
30만원 ÷ 36개월(3년)
= 8,333원
‘통신사가 매달 8,333원 할인해 줄 금액을 일시불로 미리 지급해줬다’는 식으로 이해하시면 된다는 거에요.
그런데, IPTV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인터넷과 IPTV를 함께 가입’하기 때문에, 인터넷'만' 가입하는 경우에 비해서 현금사은품 액수가 엄청나게 높은 편이란 말이죠?
그럼, 얼마나 주냐?
딱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냥 참고나 하시라고 다음의 표를 가져와 봤어요.

위의 표는 평균적인 업계의 현금사은품 시세 거든요? 보시면 아시겠지만? 인터넷 + IPTV의 경우, 평균적으로 40~50만원 사이에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죠.
다만
위의 표는 어디까지나 대략적인 평균값 이구요? 여기서 또, ‘어떤 인터넷가입센터를 만나느냐’에 따라서, 금액 차이가 발생하게 되요.
이 때, 활용 할 수 있는 것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에요.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전국의 인터넷 가입센터의 DB를 취합하여,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센터거든요?
때문에, 업계 전체의 시세가 전반적으로 떨어지는 시기에 관계없이, 꾸준하게 높은 시세의 현금사은품을 받아내는 것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죠.
어차피, 2~3군데 견적 문의해서 어떤 인터넷 가입센터로 할지 결정 하실텐데, 현금사은품 비교하실 때, 위의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도 한번, 같이 문의해보시길 바랄께요?
IPTV 셋톱박스 비교
마지막으로 여러분들이 비교해주셔야 하는 것이, 셋톱박스에요.
왜, DVD 플레이어 없이 DVD 못보고, 게임기 없이 게임 못하잖아요?
마찬가지로, 셋톱박스란?
‘IPTV를 이용하기 위해서, 반드시 설치해야 되는 기계’라고 이해하시면 되요.
문제는, 이 셋톱박스에도
별도의 월비용이 발생한다는
점이거든요?
즉, ‘인터넷 월 비용 + IPTV 월 비용 - 결합할인금액 + 셋톱박스요금 = 최종금액’ 인 셈이 된다는 거에요
네? 셋톱박스 없이
IPTV 이용하는 법은
없냐구요?
네, 사실 상 없다고 보시면 되요.
다만, 요즘 셋톱박스는 AI 스피커, 유튜브, 넷플릭스등의 기능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또 그렇게까지 미워 할 필요는 없으니, 약간은 용서해주시겠어요?
어쨌든.
그러한 셋톱박스의 월 비용은 얼마인지 한번 살펴보면,

통신사의 대략적인 셋톱박스 비용은 3,300원 ~ 4,400원 선인 것을 확인할 수 있지요.
아무쪼록, IPTV의 가격적인 부분 철저하게 체크 하셔서? 가장 가성비 높은 통신사를 고르시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랄께요?
이상, IPTV로 통신사 고르는 인꿍이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