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K 모니터 추천가이드 (+ 디시,퀘이사존 의견정리)
- 정보흠
- 6월 9일
- 9분 분량

목차
의외로 ‘QHD 모니터가 UHD 모니터(4K 모니터)보다 더 좋다’는 의견이 커뮤니티 상에 꾸준히 등장하고 있어요.
실제로 게시글을 살펴보면,
4K 모니터를 쓰는 것에 의외로 부정적인 의견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단 말이죠?


한편, 4K 모니터에 긍정적인 측에서는, "너희는 단지 4K 모니터를 살 돈 없어서, 질투하는 것 뿐"이라고 논란을 일축시켜버린단 말이죠?
다만, 이는 단순히
질투의 문제가 아니에요.
사실, 4K 모니터는 아직까지도 ✔️컨텐츠 문제, ✔️업스케일링 문제, ✔️배율 문제 등… 아직 해결되지 않은 여러 문제점이 넘쳐난단 말이죠?
이번 페이지에서는 (1) 4K 모니터의 장단점은 무엇인지, (2) 나는 4K 모니터가 적합한지, (3) 추천할만한 4K 모니터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볼까 하거든요?
(4K 모니터 제품만 추천 받고 싶은 분들은, 빠르게 제품 추천 문단으로 넘어가 주셔도 좋아요!)
단순히,
제 의견 뿐만 아니라
✔️디시 인사이드, ✔️퀘이사존을 비롯한 다양한 커뮤니티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거에요. 그러므로, 신뢰성 측면은 걱정하지 마시기 바랄께요?
4K 모니터의 OS작업
만약, 여러분이 4K 모니터를 처음 샀다면, 컴퓨터를 처음 켠 순간 ‘와- 4K 모니터 사길 잘했다.’고 느끼실 거에요.
왜냐?
해상도 | 가로 픽셀 갯수 | 세로 픽셀 갯수 | 전체 픽셀 갯수 |
FHD | 1920개 | 1080개 | 2,073,600개 |
QHD | 2560개 | 1440개 | 3,686,400개 |
UHD (4k) | 3840개 | 2160개 | 8,294,400개 |
4K 모니터는 총 8,294,400개의 픽셀로 이루어진 모니터를 말하잖아요?
화면의 사이즈는 동일한데,
전체 픽셀 갯수가 많으면?
크기 | 해상도 | 픽셀 피치 |
27인치 | FHD | 0.311 |
27인치 | QHD | 0.247 |
27인치 | UHD (4K) | 0.156 |
32인치 | FHD | 0.369 |
32인치 | QHD | 0.277 |
32인치 | UHD (4K) | 0.184 |
43인치 | UHD (4K) | 0.247 |
픽셀 피치(Pixel Pitch)가 낮아져서, 훨씬 더 선명한 화면을 얻을 수 있게되기 때문이죠.
이를 알기쉽게
비교해주신 분이 계신데,
✔️디시 인사이드의 ‘A9M2’님이에요.
이 분은, 27인치 모니터의 FHD 모니터와 UHD 모니터(4K 모니터)의 폰트를 각각 확대하여, 그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한 눈에 보더라도 FHD 모니터에 비해서, UHD 모니터가 훨씬 선명한 화질을 보여주죠?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
메모장을 사용할 때,
엑셀을 사용할 때,
계산기를 사용할 때,
UHD 모니터는 OS 상에서 어떠한 작업을 하더라도? 고해상도의 매우 선명한 화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높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는 거에요.
네? 그런데, 왜 4K 모니터에
부정적인 의견이 있는거냐구요?
첫째, 4K 모니터는 UI의 크기가 작다.
4K 모니터에 부정적인 분들은 ‘4K 모니터를 쓰면 UI가 너무 작아진다’고 주장하고 계세요.
아래의 스크린샷을
봐주시겠어요?

디시 인사이드의 한 유저분께서 ‘27인치 4K를 추천 안하는 이유’라는 게시물에 올린 스크린샷이거든요?
해당 유저는 27인치 모니터에서 4K 해상도를 사용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보여주었는데…
보시면 아시겠지만,
27인치의 4K 모니터는 일반적인 모니터에 비해서, ✔️아이콘, ✔️폰트, ✔️창, ✔️작업 표시줄 등의 모든 것이 작아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죠.
네?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냐구요?
Windows에서는 픽셀을 기준으로 해상도를 잡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볼께요?

Windows의 바탕화면 아이콘은 가로 256개 X 세로 256개의 픽셀을 사용하거든요?
해상도 | 가로 픽셀 갯수 | 세로 픽셀 갯수 | 전체 픽셀 갯수 |
FHD | 1920개 | 1080개 | 2,073,600개 |
QHD | 2560개 | 1440개 | 3,686,400개 |
UHD (4k) | 3840개 | 2160개 | 8,294,400개 |
그런데, 4K 모니터는 가로 3840개 X 세로 2160개의 픽셀을 사용하죠?
이 때, Windows는
바탕화면 아이콘을 가로 256개 X 세로 256개의 픽셀로만 표시하기 때문에? 당연히, 가로 3840개 X 세로 2160개의 픽셀을 사용하는 4K 모니터에서는 아이콘이 작아질 수 밖에 없다는 거에요.
네? 그럼 4K 모니터는
아이콘을 작게 써야하냐구요?
아뇨, 물론 Windows에서도 이러한 4K 모니터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배율 확대’라는 기능을 넣어놓았죠.

Windows 설정은 ‘사용자 지정 비율로 조정’을 하게되면, 27인치 4K 모니터도 ✔️아이콘, ✔️폰트, ✔️창, ✔️작업 표시줄의 사이즈를 확대시킬 수 있게 되거든요?
그런데, 문제는
이 ‘배율 확대’기능이 결코 만능이 아니라는거에요.
둘째, Windows의 배율이 불안정하다.
윈도우에서 지원해주는 '배율 확대' 기능은, 어디까지나 윈도우 상의 폰트와 레이아웃만을 잡아늘려 확대해 주는 것 뿐이란 말이죠?

문제는
‘배율 확대’기능을 사용하더라도, 확대가 제대로 적용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거에요.
FHD 해상도로 고정된 사이트
개인이 소규모로 만든 어플리케이션
인디 게임
일부 그래픽 툴

한 디시 유저는 인디게임과 마야, 3ds max를 언급하면서 ‘배율 확대’ 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죠.
결론은 간단해요.
내가 남들과는 다른 ✔️특정 사이트, ✔️특정 어플리케이션, ✔️특정 게임을 자주한다면, 해당 콘텐츠가 UHD 해상도를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된다는 거에요.
때문에
4K 모니터는 Windows 보다 MacOS를 쓰시는 분들에게 더 인기가 많은 편이죠.
'레티나 디스플레이'라고 해서, 애초부터 MacOS는 4K 해상도를 네이티브로 지원하거든요?
반면,
Windows는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하기 때문에? 호환성 문제가 항상 발목을 잡을 수 밖에 없는거에요.
네? Windows를
쓰고 계신다구요?
그런데, 내가 쓰는 어플이
4K를 지원안할거 같다구요?
그렇다면 QHD 모니터가 더 나은 선택이에요.
관련글
QHD 해상도는 고해상도이지만, 설령 어플이 UHD 배율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불편할 정도로 UI가 작아지진 않죠.
반면
오래된 사이트나, 특정 어플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크롬 브라우저나, 워드, 엑셀, 포토샵 같은 유명하면서 사후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어플만을 사용한다.
…하시는 분들의 경우, 배율이 대부분 완벽하게 적용되므로 UHD 모니터는 충분히 좋은 선택이라고 할 수 있겠죠.
4K 모니터의 게이밍
한편, 게이밍 때문에 4K 모니터를 구매하려는 경우에는 조금 생각해 볼 부분이 많아요.
실제로,
4K 모니터를 강력하게 추천했던 디시 유저 ‘A9M2’님도…

게임을 안하는 것을 전제로 4K 모니터를 추천 하신거란 말이죠?
게이머한테 4K 모니터가
왜 문제가 되느냐?
바로, ✔️해상도와 ✔️주사율의 관계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서, ‘144hz 주사율’이라면, 그래픽카드가 1초 동안 144장의 게임화면을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잖아요?
즉, 주사율을 높이려면 그래픽카드의 성능이 높아야된다는 뜻이거든요?
한편

UHD 해상도(4K 해상도)라는 것은 FHD 해상도 보다 4배 더 큰 화면을 의미하잖아요?
간단하게 말해서, UHD 해상도라면 게임화면 1장을 만들 때, 그래픽카드가 FHD 해상도 보다 4배 더 많은 성능을 써야한다는 것을 의미해요.
이 말은 즉,
✔️해상도와 ✔️주사율을 동시에 높이는 것은 상당한 컴퓨터 자원을 사용한다는 거에요.
즉, 어지간한 그래픽카드가 아니라면, 반드시 ‘높은 주사율 VS 높은 해상도’ 둘 중에 하나를 택해야만 한다는 뜻인데...
문제는,
최근에는 고사양 콘솔게임 조차도, 높은 주사율을 선호하는 비중이 높아졌다는 거에요.

실제로, 한 유저가 ‘높은 주사율 vs 높은 해상도, 무엇을 선택하시겠습니까?’ 라는 질문에,


적지 않은 유저들이 높은 해상도 보다 높은 주사율을 선호한다는 의견을 보여줬단 말이죠?
네? 게임할 때만
해상도 낮춰서 하면
되는거 아니냐구요?
네, 맞아요. 정답이에요. 모든 게임에는 해상도 설정 메뉴가 있잖아요?
4K 모니터를 사용하더라도, 게임 할 때만 설정에서 QHD 해상도로 설정해주면?
OS 작업은 4K 해상도로,
게임은 QHD 해상도로,
각자 상황을 나누어서 사용하는게 가능하단 말이죠?
다만
4K 모니터에서 억지로 QHD 해상도 게이밍을 할 때는 모든 픽셀이 1:1로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픽셀 매칭에 문제가 발생하거든요?
이 때문에
✔️화면이 뭉개진다거나, ✔️계단 현상이 발생하는 등… 일부 저품질 증상이 발생하게 되죠.
물론

이는 ‘정수 스케일링’이라는 기술을 통해서 해결하는게 가능하긴 해요.
(정수 스케일링 : 모니터와 게임의 해상도가 다를 때 발생하는 계단 현상을 없애주는 기술)
다만
이 ‘정수 스케일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일부 있고, 호환성 이슈도 있는 만큼 반드시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죠.
뿐만 아니라,
QHD 모니터에서 4K 해상도로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엔비디아의 고급기능이 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어요.
DLAA : 게임 내 계단현상(픽셀)을 안보이게 해주는 기능
DLDSR : 업,다운 스케일링을 통해서 QHD 모니터에서도 4K로 보여주는 기능
이러한 기능들은 엔비디아의 독자적인 기술로, 이 기능을 사용하면 QHD 모니터에서도 4K를 구현하는게 가능하거든요?

물론,
이러한 기능들을 사용한다고 해도, 진짜 네이티브 UHD 해상도의 그래픽 보다는 퀄리티가 떨어지는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정말 자세하게 보지 않으면 눈치채기 힘든 수준이란 말이죠?
게다가
DLAA, DLDSR의 기능은 ‘낮은 그래픽카드의 성능으로도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굳이 게이밍 때문에 4K 모니터를 구매해야할 필요성은 적은 편이라고 할 수 있어요.
만약
게이밍 모니터를 살펴보고 계신다면,
관련글
위의 관련글을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실테니,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4K 모니터의 영상시청
한편, 4K 모니터가 논란의 여지없이 좋은 가성비를 보여주는 부분은 바로 영상시청이죠.
왜냐?
내가 이용하는 영상 콘텐츠가 4K 해상도를 지원한다면, 그냥 두말할 것도 없이 4K 모니터가 가장 좋은 선택이니깐요.
다만
아직까지 의외로 4K 해상도의 영상 콘텐츠를 접하기 어렵다는 점이 복병이에요.
네? 4K 영상이 넘쳐나는데
무슨 소리냐구요?
주로 사용하는 해상도 | |
유튜브 | FHD |
넷플릭스 컨텐츠 | FHD , UHD |
드라마 | FHD , UHD |
애니메이션 | FHD |
유튜브를
예로 들어볼까요?
유튜브는 공식적으로 4K 해상도를 지원하고 있죠?

그런데, 유튜브 측은 ‘4K 해상도로 항상 고정시켜 놓는 기능’을 지원하고 있지 않아요. 즉, 4K 해상도로 시청하고 싶으면, 내가 영상마다 직접 일일이 UHD 화질로 설정해야 된다는 뜻이죠.
즉, 실질적으로
유튜브는 FHD 해상도를 주로 지원하는 플랫폼이라는 거에요.
한편

넷플릭스가 4K(UHD) 화질에 훨씬 더 비싼 요금을 청구하는건, 유명한 얘기잖아요?
이렇게 대기업들이
4K 화질에 인색한 이유는
대기업들이 4K 화질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더 많은 데이터 요금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비용을 아끼기 위해서란 말이죠?
솔직히 말하자면,
아직 우리의 지구촌에는 4K 해상도가 완벽하게 보급되지 않았어요.
그러므로, 영상시청 때문에 4K 모니터 구매 하시겠다면, 내가 이용하는 영상 컨텐츠가 4K 화질을 지원하는지의 여부를 확실하게 체크해주셔야겠죠?
네? 그래서 구체적으로
어떤 4K 모니터를
추천하냐구요?
제품 추천
일단 4K 모니터를 구매하시겠다면, 사이즈를 신중하게 고민하셔야 해요.
왜냐?
4K 모니터는 총 8,294,400개의 픽셀을 갖는 모니터를 말하잖아요?
그런데, 24인치에 8,294,400개의 픽셀이 있을 때와, 43인치에 8,294,400개 픽셀 있는 때, 각각 픽셀 1개의 크기가 완전히 달라지겠죠?
‘픽셀의 1개 당, 크기가 얼마인지’를 수치로 환산한 것이 픽셀 피치(Pixel Pitch)라는 개념이거든요?
크기 | 해상도 | 픽셀 피치 |
27인치 | FHD | 0.311 |
27인치 | QHD | 0.247 |
27인치 | UHD | 0.156 |
32인치 | FHD | 0.369 |
32인치 | QHD | 0.277 |
32인치 | UHD | 0.184 |
43인치 | UHD | 0.247 |
(픽셀 피치가 낮을수록 더욱 픽셀 1개의 면적이 작아서, 화면이 더욱 촘촘하고, 선명하다는 뜻)
네? 그럼 어떤 사이즈의
4K 모니터가 인기냐구요?
✔️디시 인사이드나 ✔️퀘이사존의 의견을 정리하여, 이를 표로 만들어 봤어요.
모니터 크기 | FHD | QHD | UHD |
24인치 | O | △ | X |
27인치 | △ | O | △ |
32인치 | X | O | O |
43인치 | X | △ | O |
O : 대체적으로 다수가 동의함
△ : 논쟁의 여지가 약간 있음.
X : 논쟁의 여지가 큼.
위의 표에 의하면,
27인치의 4K 모니터는 약간 호불호가 있는 편이지만, 32인치, 43인치에서는 4K 모니터에 대한 선호도가 괜찮은 편이라고 수 있겟죠?
셋 모두
수요가 있는만큼
각각 나누어서 제품 추천을 해드릴께요?
먼저, 27인치의 4K 모니터에요.
모델명 | 브랜드 | 주사율 | 예산 기준 |
MP273U | MSI | 60hz | 가성비 중시 |
27GUA950 | 크로스오버 | 144hz | 가격 중시 |
27G850A | LG전자 | 240hz | 성능 중시 |
MP273U (예산 기준 : 가성비 중시)
MSI에서 출시한 27인치의 4K 모니터에요.
MSI에서 최저가로
출시한 제품이에요.
일반적으로 이 정도 가격으로 4K 모니터를 출시할 수 있는건, 국내 중소기업에서 판매하는 중국 OEM 모니터거든요?
문제는,
국내 중소기업 모니터는 초기불량률이 높고, 제품 수명이 짧다는 점이죠.
그런데,
MSI는 글로벌 게이밍 브랜드인 만큼, 초기불량률과 제품 수명이 비교적 훌륭하다고 알려져 있어요. 때문에, 정말로 가성비를 생각하면 괜찮은 제품이라고 할 수 있죠.
실제로
✔️한성이나 ✔️크로스오버 같은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의 최저가 UHD 모니터와 MP273U를 비교해보면, 가격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단 말이죠?
게다가,
이 제품은 DCI-P3 : 98%의 색역을 갖는 모니터거든요? 때문에, 일반 이용자 분들이 사용하기에 화질이 좋다는게 확실하게 느껴지실 거에요.
그러므로
저렴한 27인치급 4K 모니터를 원하신다면 국내 중소기업 제품이 아니라- MP273U를 구매하시는걸 추천드릴께요?
27GUA950 (예산 기준 : 가격 중시)
크로스오버에서 출시한 27인치의 4K 모니터에요.
해당 모니터는 144hz의
주사율을 지원해요.
때문에, 4K 게이밍을 즐기시려는 분들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죠.
다만
이 제품은 국내 중소기업의 제품이기 때문에, ✔️초기불량률이 높다던가, ✔️제품 수명이 짧다던가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거든요?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
크로스오버는 국내 중소기업 중에서도 A/S 서비스가 상당히 좋은 편에 속하는 기업이에요.
한성 TFG27U1632P처럼 더 저렴한 제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A/S라는 강력한 장점이 있어서 이 제품을 선택하였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27G850A (예산 기준 : 성능 중시)
LG전자에서 출시한 27인치의 4K 모니터에요.
정말 좋은 끝판왕
4K 모니터를 원하긴다면
27G850A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어요.
이 제품은 LG전자에서 출시했기 때문에, ✔️초기불량률과 ✔️제품 수명을 걱정하실 필요가 없구요? 글로벌 대기업인 만큼 ✔️A/S에 대한 부분도 완벽하죠.
특히나
이 제품은 LG 모니터 중 최고수준의 모니터라고 할 수 있는데,
나노 IPS를 사용하여, 색정확도와 색역(DCI-P3 : 99%)이 압도적으로 뛰어나고,
무려 750cd의 최대밝기를 지원하며,
명암비는 2000 : 1,
주사율은 최대 480hz까지 지원하는…
그야말로, 27인치 4K 모니터 중에서는 완전체와 같은 모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유일한 문제는 가격일 뿐.
제대로 된 27인치급 UHD 모니터를 구매하고 싶다면,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다음은
32인치급 UHD 모니터에요.
모델명 | 브랜드 | 주사율 | 예산 기준 |
32UU2 | 크로스오버 | 60hz | 가격 중시 |
32UN650K | LG전자 | 60hz | 가성비 중시 |
32GS94U | LG전자 | 144hz | 성능 중시 |
32UU2 (예산 기준 : 가격 중시)
크로스오버에서 출시한 32인치의 UHD 모니터에요.
애초에
다른 중소기업 모니터 회사는 32인치의 UHD 모니터를 출시하는 경우가 별로 없거든요?
그런데, 크로스오버의 32UU2는 비록 60hz 주사율이긴 하지만? 매우 저렴한 가격대에 출시된 32인치의 UHD 모니터이기 때문에- 충분히 좋은 선택지라고 할 수 있죠.
가격을 무엇보다 우선시하겠다면, 해당 제품을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네? 중소기업 모니터는
불안해서 못쓰겠다구요?
네, 이해해요.
실제로도, ‘30만원 넘어가는 모니터는 어지간하면 중소기업 제품 쓰지마라.’는 의견이 많을 정도로, UHD 모니터는 특히나 중소기업 모니터를 기피하는 경향이 강하거든요?
32UN650K (예산 기준 : 가성비 중시)
LG전자에서 출시한 32인치의 UHD 모니터에요.
만약 중소기업 제품이
걱정되신다면,
LG전자 32UN650K를 추천드려요.
해당 제품은 크로스오버 32UU2 보다, 몇만원 더 비싼 제품이지만, LG 모니터의 내구성을 생각하면 결코 나쁜 선택이 아니에요.
(보통 동일한 스펙의 모니터라면 중소기업과 LG전자의 가격 차이는 20~30만원 정도임)
특히나
32UN650K는 DCI-P3: 95%의 뛰어난 색역을 갖고 있다는 특징이 있거든요? 때문에, 맥북의 듀얼모니터와 같은 용도로 쓰기에도 적합하다고 할 수 있죠. 이 부분 참고해주세요?
32GS94U (예산 기준 : 성능 중시)
LG전자에서 출시한 32인치의 UHD 모니터에요.
주사율 까지 챙기시겠다면
이 제품이 유일한 선택지에요.
해당 제품은 ✔️32인치 급이면서, ✔️UHD 해상도이며, ✔️144hz의 주사율을 지원하는 완전체급 게이밍 모니터이기 때문에, 커뮤니티 상에서도 상당히 인기가 좋은 모델에 해당하죠.
참고로
라이벌 모델 중에 삼성전자의 오디세이 G7 S32DG700라는 약간 더 저렴한 모델이 있거든요? 해당 모델은 현재 각종 버그등으로 인해서 악평이 자자한 모델인 만큼, 가급적 구매하지 않는 것을 추천드려요.
참고해주세요?
네? 43인치 모델도 추천해달라구요?
43인치의 4K 모니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관련글을 한번 읽어주시는걸 추천드려요.
관련글
사실, 43인치 모니터는 호불호가 워낙 극심하게 갈리는 모니터이기 때문에, 구매하시기 전에 반드시 가이드를 한번 읽어주시는걸 추천드려서, 해당 관련글로 넘긴다는 점 양해부탁드릴께요?
아무쪼록,
이번 페이지를 통해서 나한테 4K 모니터가 적합한지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아가셨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