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네, 이사 끝나셨다구요?
초쳐서 미안한데 아직 끝난거 아니에요. 이삿짐이랑 몸은 새집이라고 해도, 아직 해줘야하는 서류 상의 절차가 남아있거든요?
이걸 안하면...
벌금과 함께, 세금을 내야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죠.
이번 페이지에서는 이사 후에 반드시 해야하는 서류 상의 절차에 대해서 알아볼까 하거든요? 최대한 자세하게 알아볼테니, 조금만 집중해주세요?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원래 일단 이사를 했으면, 동네 촌장님한테 가서 인사라도 박고 오는게 한반도의 유구한 전통이랬어요.
근데. 오늘날에는?
전입신고가 이러한 유구한 전통을 대신하고 있지요.
네? 근데 전입신고 안하면
어떻게 되냐구요?
사실- 전입신고를 안해도 사는데, 지장이 있는건 아니거든요? 다만, 전입신고는 ✔️자동차 주소등록, ✔️운전면허, ✔️예비군, ✔️민방위, ✔️국민연금, ✔️건강보험이랑 전부 연결되어 있단 말이에요?
전입신고를 안하게 되면, 이러한 것들이 전부 기존에 살던 집에 묶여있는 상태가 되요. (반면, 전입신고를 하게되면, 자동으로 전부 새로 이사온 집으로 이관 됨!)
게다가
월세사시는 분들의 경우, 전입신고를 안해버리면- 혹시라도 집주인이 파산했을 때- 보증금을 못돌려받을 우려도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죠. (게다가 5만원 이하의 벌금도 발생한다.)
참고로

전입신고는 14일 이내에 진행해야 하며,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해서 간편하게 진행하는게 가능하단 말이죠?
추가로, 주민센터를 통해서도 신청을 하는게 가능한데, 이 경우 반드시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따위)을 지참해주시기 바랄께요?
주거이전서비스
한편, 전입신고를 할 때, ‘주거이전서비스를 신청하겠냐'는 항목이 있거든요? 여기에 반드시 체크해주세요.
이게 뭐냐하면
우체국에 등록되어있는 각종 배송주소지를 자동으로 변경해주는 서비스란 말이에요? 만약, 우편물이 있는데- 주거이전서비스를 안하게되면? 일일이 주소변경을 다 해줘야 된다는 뜻이란 말이죠?
즉, 엄청나게 간편한
서비스라는 뜻인데…
원래라면 우체국에서 신청해야하는 서비스이지만, 요즘은 전입신고 할 때- 간단하게 체크표시를 하는 것만으로도 주거이전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도록 바뀌었어요.
그러므로, 꼭 체크해주셔야겠죠?
인터넷,전기,수도,가스 신청

다음으로 인터넷, 전기, 수도, 가스를 이전신청 해주셔야 되거든요?
첫째, 인터넷 이전신청
인터넷은 반드시 해당 통신사에 전화를 해서 이전신청을 해주셔야 되요.
이전신청을 하게되면, 기사님이 방문해서 인터넷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 때 약 3만원 정도의 출장비가 발생하게 되죠.
KT : 100번
SKB : 106번
LGU+ : 101번
휴대폰으로 해당 번호에 전화를 걸면, 간단하게 이전설치 신청이 가능한데...
가급적이면 1주 전에
예약해주세요.
이게- 주거지에 따라서 다르긴 한데, (1)인구 밀집도가 높은지역 + (2) 이사 성수기철에는 고객이 몰려서 최대 1주까지 지연될 가능성이 있단 말이죠?
만약을 위해서라도 무조건 미리 예약하는게 이득이에요.
참고로
인터넷은 약정으로 가입하게 되잖아요? 한번 확인해보시고 만약, 약정이 끝난 상태라면 아예 인터넷을 다른 통신사로 바꾸는 것도 추천드려요.
왜냐?
제가 아까 이전설치를 할 때는 출장비 3만원이 발생한다고 했었죠?
명심하세요?
인터넷 신규가입의 경우, 이전설치비가 발생하지 않아요. 즉, 이사 타이밍에 통신사를 교체하게 되면, 이전설치비 없이 인터넷을 설치하는게 가능하다는 거죠.
무엇보다도
인터넷을 새로 가입하게 되면, 현금사은품을 받아낼 수 있는데- 이게 인터넷+TV 기준 약 48만원 정도거든요? (인터넷’만’ 가입하면 최대 30만원 정도)
때문에, 이전설치가 발생하지 않는 이사 시즌은 인터넷을 설치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라는 거죠.
네? 마침 인터넷 약정이 끝난 상태라구요?

그렇다면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를 추천드려요
인터넷가입 비교센터는 전국에 있는 인터넷 가입센터의 DB를 취합하여,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많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선정하는 센터거든요?
현금사은품은 변동성이 있어서, 매번 추천업체가 달라진단 말이죠? 인터넷가입 비교센터의 경우, 해당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현금사은품을 제공하는 업체를 찾아주기 때문에 변동성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죠.
만약, 인터넷을 바꾸기로 마음 먹으셨다면 위의 바로가기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랄께요?
둘째, 전기 이전신청
전기는 한국전력공사에서 납부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이전신청을 이곳에서 신청해야만 해요.
참고로
인터넷으로 납부가 가능하긴 한데- 워낙 시스템이 쓰레기라서, 그냥 전화로 이전신청 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국번없이 123'을 눌러주시게 되면, 24시간 연중무휴로 이사 이전신청을 처리해준단 말이죠?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얘가 어플보다 훨씬 빨랐어요.
셋째, 수도 이전신청
수도 요금은 시에서 관리를 하거든요? 구글이나 네이버에 'OO시 상하수도 사업소'라고 검색을 해주시겠어요?
예를 들어서

안산시의 경우, 위와 같은 상하수도사업소 사이트가 뜨게 될거란 말이죠? 이런 사이트에 들어가면 민원 전화번호가 있을텐데, 이 곳에 이전신청을 문의해주시면 되요.
넷째. 가스 이전신청
가스의 경우에는, 지역마다 가스를 담당하는 민간회사가 전부 달라요.
그러므로

'한국도시가스협회'라는 사이트에 들어가주신 다음에, 내가 사는 지역을 담당하는 도시가스 회사가 어디인지를 확인해주셔야 된단 말이죠?

조회를 해주시면, 내가 사는 지역의 고객센터 전화번호가 뜨게 될텐데, 이 전화번호를 통해서 이전신청 처리를 해주시면 되요.
이부분 한번 체크해보시기
바랄께요?
취학아동 전입통지서
한편, 집에 자녀분이 계신다면 취학아동 전입통지서를 발급 받아야겠죠? 전입통지서는 주민센터에서 발급을 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온라인으로 발급을 받는 것도 가능하죠.
방학중이 아니라면
최대한 빠르게 발급받아야
하잖아요?

때문에, 어지간하면 온라인을 통해서 발급받으시는걸 추천드려요. 발급을 받으신 뒤에는 학교 측에 제출해주시기만 하면 바로 전학이 완료됩니다!
아무쪼록
이러한 정보 참고하셔서, 이사 후 뒷 마무리 천천히 마무리 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아, 그리고

아직 이사를 하지 않으신 상태인데 이 글을 읽고 계시다면, 이사 플랫폼인 모두이사를 추천드려요!
모두이사는 이사업체가 아니라, 뛰어난 이사팀의 DB를 확보한 이사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거든요?
이사에는 베테랑 이사팀을 만나는게 정말 중요한데, 모두이사의 경우에는 베테랑 이사팀의 DB 확보에 정말 사활을 거는 플랫폼인 만큼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유명하죠.
만약 3군데 정도
견적을 보신다면?
제가 꼼꼼하게 알아보고 제휴한 업체인 만큼, 견적 업체 중 하나로 한번 참고해주시기 바랄게요?
아무쪼록
이러한 정보 사전에 체크하셔서 조금이라도 저렴한 이사하는데 도움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상 보흠픽셀이었어요-!